통합 검색

INTERVIEW MORE+

무의식에서 탄생한 소리

에조의 음악에는 무의식 속에서 찾아낸 자신의 모습이 담겨 있다.

UpdatedOn July 03, 2019

/upload/arena/article/201907/thumb/42229-374287-sample.jpg

파란색 아우터는 C.P. 컴퍼니, 신발은 나이키, 바지는 본인 소장품.

첫 음반이다. <Mind Web Wanderer>에는 어떤 과정 속에서 탄생한 음악이 담겨 있나?
샤워하다 보면 무의식의 세계에 빠지는 순간이 있다. 그 순간에 떠오른 것들을 음악으로 담아냈다. 이를테면첫 번째 트랙 ‘Awaiting’은 ‘I’m waiting on you here’라는 문장이 반복되는게 가사의 전부다. 그 곡을 만들 때가 연애 초기였는데, 카페에서 여자친구를 기다리던 내 심정을 기록한 거다.

이전에도 DJ나 프로듀서로 음악 활동은 하고 있었다. 음반 형태로 좀 더 내 음악을 보여줘야겠다고 생각한 건가?
누군가에게 보여주거나 설득하려고 만든 음반은 아니다. 음악 작업은 내가 표현하고 싶은 걸 기록하는 일이다. 한동안 무의식에 빠져서 곡을 만들었고, 그렇게 완성한 곡들을 텔레그램 앱을 통해서 보냈는데 순차적으로 재생되면서 마치 하나의 음반처럼 들리더라. 그래서 만든 거다.

그럼 이 음반은 에조의 무의식 세계를 축적한 결과라고 봐도 될까?
그렇다. 나의 추억이라기보다 말로 설명하기 힘든 감정과 무의식 상태의 나를 끄집어낸 음악이다. 아니면 거기에 잠식된 상태였을 수도 있고.

완성된 음반을 들어보고 어떤 생각을 했나? 그때 무의식에 존재했던 것은 무엇이었나?
가장 큰 건 사랑을 알게 된 것. 그리고 그것 때문에 많이 불안했던 것. 한편으로는 무서울 게 없고 다 할 수 있을 것이라는 패기도 있었다. 사랑이라는 감정을 가슴으로 이해하니까 내가 통제할수 없다는 것이 두려워지더라. 어떻게 보면 10대 같았다.

모든 곡은 한글이 아닌 영어로만 가사를 썼다.
대화를 할 때는 편한데, 한글로 기록하려면 뭔가 하나의 막이 덮인 것처럼 내가 솔직해지기 어렵더라. 나를 있는 그대로 완벽히 담을 수 있는 언어가 영어였다.

에조의 음악은 소리 같기도 하고, 가사도 단어의 조합 혹은 시처럼 읽힌다.
뭔가를 참고하지 않고 만들었다. 이건 정말 순수하게 나를 담은 음악이다. 랩 가사를 쓸 때도 랩이 아니라 시를 쓴다고 생각한 적도 있었고, 어떤 장르를 염두하고 만들지 않았다.

재미있게도 스트리밍 사이트에서 장르가 ‘랩/힙합’으로 분류된다. 직접 설정한 건가?
그걸 정하는 게 너무 어려웠다. 사실 어렸을 때부터 힙합을 좋아했다. 다른 음악도 듣긴 했지만, 나의 모든 태도와 틀은 모두 힙합 안에 있었다. 나를 표현하는 작업을 하면서 성향이 조금 바뀌긴 했지만. 곡을 만들고 나니 이게 과연 내가 생각한 힙합인가 싶더라. 아니라고 할 수도 없고. 어떻게 할까 하다가 ‘랩/힙합’으로 넣었다. 내가 즐기던 힙합도 생각해보면 힙합이면서 힙합이 아닌 것도 많았으니까.

인도인 아버지와 한국인 어머니 사이에서 태어났고, 인도와 미국을 거쳐 지금은 한국에 산다. 이런 경험이 음악을 할 때어떤 영향을 미치나?
인종이나 지역의 문제가 아니라 자연스럽게 어떤 경험이 쌓이면서 내가 됐고 음악이 나왔다. 어렸을 때는 힙합을 좋아해서 미국을 좋아했고, 인도는 되게 싫어했다. 그런데 지금은 그 반대다. 인도는 좋아졌고, 한편으로 미국은 좀 지루해졌다. 너무 많은 일들이 나를 변화시키고 만들었다.

한국에서 음악 생활을 택한 이유가 있을까? 지금은 한국에 정착했다는 느낌이 드는지?
택한 건 아니고 자연스럽게 흘러 한국에 살면서 음악을 하게 됐다. 내게 정착했다는 말은 환경이 아니라 지금의 나에게 익숙해졌다는 뜻이다. 어렸을 때부터 눈뜨면 헷갈릴 때가 있었다. 여기가 한국인지, 인도인지, 미국인지. 결국 어디나 사람 사는 세상이고, 같은 방식으로 교감을 한다. 그래서 정착을 하는 게 의미가 있나 싶다.

이곳에서 음악을 계속하게 될까?
어디서든 어떤 방식으로든 음악은 계속할 거다. 내게 가장 익숙한 표현의 도구니까.

<아레나옴므플러스>의 모든 기사의 사진과 텍스트는 상업적인 용도로 일부 혹은 전체를 무단 전재할 수 없습니다. 링크를 걸거나 SNS 퍼가기 버튼으로 공유해주세요.

KEYWORD

CREDIT INFO

CONTRIBUTING EDITOR 강예솔
PHOTOGRAPHY 레스
STYLIST 배보영

2019년 07월호

MOST POPULAR

  • 1
    올봄, 이렇게만 입으세요
  • 2
    LONG&LEAN
  • 3
    다시 콜드플레이!
  • 4
    MIU MIU LITERARY CLUB
  • 5
    CCWC 2025써머 룩북 컬렉션 공개

RELATED STORIES

  • INTERVIEW

    완벽함과 유연함 사이의 이준호

    어느덧 17년 차. 수많은 노래와 배역 사이를 이준호는 치열하게 오갔다. 완벽함을 바라는 마음은 그를 시종일관 몰아붙였다. 그의 노력에 걸맞게 팬들의 환호는 지구 반대편에서도 울려 퍼졌다. 그렇게 달려가던 이준호는 이제 유연함을 바라본다. 완벽에 다다르는 길이 하나만 있지 않기에.

  • INTERVIEW

    소지섭, "좋은 배우가 되는 가장 빠른 길은 좋은 사람이 되는 거라고 믿습니다."

    배우 소지섭의 <아레나> 5월호 화보 및 인터뷰 미리보기

  • INTERVIEW

    박재범, 반려견 오스카와 함께 한 <아레나 옴므 플러스> 디지털 커버 공개

    이탈리아 럭셔리 브랜드 구찌와 박재범이 함께한 <아레나> 디지털 커버 미리보기

  • INTERVIEW

    차강윤, "나중에는 꼭 연출을 하고 싶습니다. 일단 연기로 인정받아야죠. 얼마나 걸릴지 모르지만요."

    배우 차강윤의 <아레나> 5월호 화보 및 인터뷰 미리보기

  • INTERVIEW

    홍화연, "매 순간 진심을 다하려고 해요. 뭔가 결정을 내릴 때는 충분히 고민하고, 최선을 다해 책임져요."

    배우 홍화연의 <아레나> 5월호 화보 및 인터뷰 미리보기

MORE FROM ARENA

  • VIDEO

    2020 A-Awards #김은희

  • FASHION

    봄의 패턴들

    예술적 감각이 깃든 봄의 패턴.

  • FASHION

    STAY A CHILD

    다시 돌아가고 싶은 어린 시절, 새파랗게 천진난만한 우리.

  • LIFE

    이거 어때?

    크라우드 펀딩 사이트 킥 스타터(Kick Starter)를 둘러보고.

  • INTERVIEW

    ACTION!

    새로운 나를 위한 위대한 도전, ‘트루헬스 마스터 챌린지 시즌 11’의 우승자 화보 촬영 현장을 <아레나>가 급습했다.

FAMILY SI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