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 검색

REPORTS MORE+

한번 더 볼트

우사인 볼트는 갔지만 아직 그를 보내지 아니한 이유.

UpdatedOn September 30, 2011



꿈이 육상 선수였다. 일주일 정도 꾼 꿈이지만. 초등학교 5학년 때 학교 대표로 뽑혀 큰 대회에 나갔다. 대표를 뽑는 방법은 간단했다. 반에서 제일 빠른 사람을 뽑고 그들끼리 모여 겨뤘다. 거기서 100m도 일등 하고 200m도 일등 했다. 쉬웠다. 100m는 앞만 보고 달리면 되고 200m는 곡선 주로를 달릴 때 몸을 안쪽으로 바짝 붙이면 됐다. 각설하고, 기대와 기량에서 우사인 볼트급이었다. 키도 지금만큼 컸다. (이 말은 그때 이후 성장이 멈췄다는 것. 참고로 지금 키는 173cm.)
(아마도) 100m와 200m를 한 명이 독식하는 건 아이들의 정서에 좋지 않다는 이유로 둘 중 한 종목만 선택해야 했다. 당연히 100m를 뛰겠다고 말했다. 좀 더 남자답게 보여서.
대회날, 일요일도 아니었는데 아빠가 딸기까지 사서 경기를 보러 왔다. 그래서 몇 등 했냐면, 6등 했다. 여섯 명이 뛰었다. 응원 온 사람들은 믿기 어렵다는 눈으로 어린 꼴등이 레이스를 마치고 돌아오는 걸 봤다. 넘어져서 그래, 누군가 위로해준 기억이 난다. 넘어진 건 맞지만 넘어져서 꼴등 한 건 아니다. 도저히 상대가 안 돼서 밀려 넘어졌다. 스타트하고 불과 몇 초 지나지 않아 알았다. 꿈을 바꿔야 한다는 걸. 포기가 달리는 속도보다 빨랐다.
대구세계육상선수권대회 100m 결승에서 우사인 볼트가 플라잉 스타트(Flying Start, 부정 출발을 뜻하는 말치곤 아름답지 않나?)를 할 때 육상 선수가 꿈이었던, 초등학교 대표 출신이자
첫 대회에서 꼴등을 해 꿈을 접은 선수도 그 자리에 있었다. 그리고 오래전의 오후를 떠올렸다. 기대를 한몸에 받을 때 결과가 좋지 않으면 모멸감을 느낀다. 하지만 그건 창피함에서 오는 감정이라기보단, 도저히 어찌해볼 도리가 없을 때 오는 막막함에 가깝다…고 생각한다. 볼트는 달릴 수 있다. 하지만 달릴 수 없었다. 결승선을 향해 세계의 대표 선수들이 달려가고 있는데 눈은 계속 다른 데 있었다.
볼트는 100m 경기가 허무하게 끝난 날 저녁에도 동료들과 함께 햄버거, 치킨을 먹었다고 한다. 200m 결승전과 100m×4 계주 경기를 앞두고도 여느 때와 마찬가지로 자원봉사자와 장난을 쳤다. ‘어린 선수’는 저녁을 먹는 둥 마는 둥했을 뿐 아니라 며칠 동안 학교도 가기 싫었는데.
이게 ‘월드 레벨 멘털’이란 건가.
볼트는 100m에서 확실한 우승 후보가 아니었다. 3관왕에 오를 것인가, 의 관건은 100m였다. 볼트가 아무리 빨라도 부상을 따돌릴 순 없어서. 우승을 차지한 동료 요한 블레이크는 9월 12일 베를린에서 열린 ISTAF 국제육상대회에서도 우승했다. 볼트는 참가하지 않았다. 여전히 아직은 세계에서 가장 빠른 사나이일 볼트는 마지막 순간을 준비해야 할지도 모른다. 영원히 세상에서 가장 빠른 사나이는 없으니까.
다음에 참가할 대회에선 볼트가 100m에서 우승할 수 있을까? 우승을 넘어 자신의 기록까지 넘겠다는 다짐을 실현할 수 있을까? 100m 결승선 너머에서 다시 한 번 번개 세리머니를 하며 춤추는 모습이 보고 싶은 건 개인적인 기억 때문일까? 볼트가 지구에서 가장 유쾌하고 재밌는 육상 선수여서? 아직까진 볼트 말고 다른 선수가 100m에서 우승하는 걸 보고 싶지 않은 사람은 ‘같은’ 대표 출신인 이 몸뿐인가? 인터넷에서라면 동의하시는 분 ‘추천’ 눌러주세요, 라고 말하고 글을 끝낼 텐데.


 

1. 인천 송도 마라톤
달리는 날 10월 16일 일요일 | 신청하는 날 9월 23일까지
알아보는 곳 www.songdorun.com
좋아요 코스가 대부분 평지다. 주최 측에 의하면 송도의 지형 조건을 활용한, 오직 송도만의 장점이라고 한다. 최고 기록에 도전하는 사람, 모여라! 외국인과 다문화 가정을 위한 체험놀이 마당 같은 이벤트도 마련할 예정. 5km, 10km, 하프코스, 풀코스 모두 신청 가능.

2. 나이키 WE RUN SEOUL 10K
달리는 날 10월 23일 일요일 | 신청하는 날 9월 19일부터 선착순 3만 명 
알아보는 곳 www.werunseoul.com
좋아요 대한민국에서 가장 상큼한 마라톤 대회가 뭐냐고 물으면 답은 나이키 10K! 몸매 예쁜 청춘들이 다 와 있는 것 같다. 어르신들은 왠지 ‘거시기’해서 같이 못 뛸 것 같은 분위기. 대회 끝나면 가수들의 공연도 열린다. 하루 노는 거지. 코스는 오직 하나, 10km!

3. 이봉주 보스턴 제패 기념 홍성마라톤대회
달리는 날 11월 13일 일요일 | 신청하는 날 10월 7일까지 
알아보는 곳 www.amarunhs.com
좋아요 잊고 살았다. 이봉주가 세계 3대 마라톤대회 중 하나인 보스턴마라톤대회에서 우승했단 사실. 자랑스러운 기억을 되살리는 것만으로 의미 있는 대회. 게다가 참가 기념품으로 쌀 1.5kg 혹은 새우젓 1.2kg을 준다. 풀코스는 없고 5km, 10km, 하프코스만.


<아레나옴므플러스>의 모든 기사의 사진과 텍스트는 상업적인 용도로 일부 혹은 전체를 무단 전재할 수 없습니다. 링크를 걸거나 SNS 퍼가기 버튼으로 공유해주세요.

KEYWORD

CREDIT INFO

디지털 매거진

MOST POPULAR

  • 1
    소지섭, "좋은 배우가 되는 가장 빠른 길은 좋은 사람이 되는 거라고 믿습니다."
  • 2
    세월의 숨결이 깃든 빈티지 가구 숍
  • 3
    홍화연, "매 순간 진심을 다하려고 해요. 뭔가 결정을 내릴 때는 충분히 고민하고, 최선을 다해 책임져요."
  • 4
    Take Eat Slow
  • 5
    이제는 J-팝

RELATED STORIES

  • ISSUE

    2022년의 2등을 위해 #2

    2022년은 특별한 해다. 2가 반복된다. 그리고 이건 12월호다. 2가 반복되는 해의 마지막 달이라 2등만을 기념하련다. 올해 각 분야의 2위들을 재조명한다.

  • ISSUE

    2022년의 2등을 위해 #1

    2022년은 특별한 해다. 2가 반복된다. 그리고 이건 12월호다. 2가 반복되는 해의 마지막 달이라 2등만을 기념하련다. 올해 각 분야의 2위들을 재조명한다.

  • ISSUE

    이란, 세 소녀

    히잡 시위를 계기로 이란은 정치적, 사회적, 경제적 혼란기를 겪고 있다. 혁명의 주체는 시민이고 시위대를 이끄는 이들은 히잡을 벗어던진 10대, 20대 여성이다. 세상은 혼란할지라도 일상은 계속되어야 한다. 이란의 10대, 20대 여성과 인스타그램 DM으로 짧은 대화를 나눴다. 혁명 속을 살아가는 소녀들의 이야기를 옮긴다.

  • ISSUE

    보이지 않는 공로

    영화 한 편엔 수없이 많은 제작자들의 정성과 노력이 담기지만 관객은 쉽게 알아차리지 못한다. 보이지 않는 곳에서 땀 흘리는 제작자들의 공로를 ‘제12회 해밀턴 비하인드 더 카메라 어워드’가 기린다.

  • ISSUE

    2022 Weekly Issue #2

    돌아보면 2022년 대한민국은 하루도 조용한 날이 없었다. 오미크론 확산부터 대선 이슈, 전쟁과 경제 이슈 등 매일이 격동의 나날이었다. 우리는 주 단위로 2022년을 돌아본다. 2022년 1월 첫째 주부터 11월 둘째 주까지 . 우리의 눈과 귀를 번뜩이게 한 국내외 이슈들을 짚는다.

MORE FROM ARENA

  • LIFE

    대한민국 밴드 신에 희망은 있을까?

  • LIFE

    폴 형제의 불쾌한 도전

    제이크 폴과 로건 폴 형제는 격투계 이슈 메이커다. 본업은 유튜버다. 웃기는 영상으로 대형 유튜버가 된 폴 형제가 이번에는 복싱 선수에 도전했다. 그들은 이미 유튜브에서 슈퍼스타지만, 장기적으로 콘텐츠를 생산하고 유명세를 이어가려면 새로운 캐릭터가 필요했다. 그리고 스포츠 선수만큼 적합한 것은 없어 보인다. 인기 유튜버 형제는 어떻게 복싱계와 종합격투기계를 뒤흔들 수 있었는지 그 히스토리를 짚는다.

  • LIFE

    신은 브라질 편이다

    취재할 수 없는 시대에 우리는 무엇을 다뤄야 할까. 대대적인 봉쇄령에도 사람들은 일상을 지속한다. 베란다에서 글을 쓰고, 온라인 콘텐츠를 만들고, 저항과 논쟁을 이어가고, TV 쇼에 문자 투표를 한다. 팬데믹 시대에도 라이프스타일은 지속된다. 세계 12개 도시의 기자들이 팬데믹 시대의 삶을 전해왔다. <모노클> <뉴욕타임스> <아이콘> <내셔널 지오그래픽> <매그넘> 기자들이 전해온 21세기 가장 암울한 순간의 민낯과 희망의 기록이다. 지금 세계는 이렇다.

  • FASHION

    STONE ISLAND PROTOTYPE SERIES 07

    2023년 밀라노 디자인 위크에서 선보인 스톤아일랜드 프로토타입 시리즈 07

  • ARTICLE

    OLD FRAME

    가을의 문턱, 낡고 오래된 것들로부터.

FAMILY SI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