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 검색

FASHION MORE+

MIU MIU LITERARY CLUB

미우미우가 2025년, 두 번째 문학 클럽 '여성의 교육(A Woman’s Education)'을 선보인다.

UpdatedOn April 14, 2025

MILANO, APRIL 9th - 10th 2025

“A WOMAN’S EDUCATION”

3 / 10

 

미우미우는 2025년, 두 번째 문학 클럽 ‘여성의 교육(A Woman’s Education)’을 선보인다. 미우치아 프라다는 이번 문학 클럽 기획에 직접 참여하며, 프랑스 실존주의 문학 거장 시몬 드 보부아르(Simone de Beauvoir)와 일본 쇼와 시대 여성 작가 엔치 후미코(Fumiko Enchi)의 작품을 통해 소녀 시절, 사랑, 성교육에 대한 주제를 탐구한다. 해당 주제를 중심으로 한 대담에서는 수 세기 동안 여성에게 주어진 규범과 편견에 의문을 제기하고, 이를 다양한 시각에서 조명한다.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하는 재능 있는 인재들로 구성된 커뮤니티가 한자리에 모여 이야기를 나누는 라이브 토크를 비롯해, 음악 공연과 산문 및 시 낭독도 진행한다. 미우미우는 역사적으로 존경받는 여성들의 삶을 새롭게 조명하는 동시에, 현대 사상과 문화를 탐구하고 발전시키고자 하는 브랜드의 헌신을 강조한다.

미우미우 문학 클럽은 4월9일과 10일, 오후 2시부터 10시까지, 밀라노의 치르콜로 필로로지코 밀라네제(Circolo Filologico Milanese)에서 진행되었다.  

3 / 10

 

첫 번째 날은, 시몬 드 보부아르의 ‘둘도 없는 사이(The Inseparables)’를 심도 있게 탐구하는 ‘소녀 시절의 힘(The Power of Girlhood)’을 주제로 시작하여, 각 작가의 대표작을 조명한다. 1954년에 집필되었지만 지나치게 내밀하다는 이유로 생전에 출간되지 못하고, 2020년에야 발표된 이 소설은 보부아르에 대한 뜨거운 관심을 불러일으킨다. ‘제 2의 성(The Second Sex, 1949)’과 ‘정숙한 젊은 여자의 회고록(Memoirs of a Dutiful Daughter, 1958)’ 등을 집필한 보부아르는 이 작품에서 어린 소녀가 여성으로 성장하는 여정과 스스로 자신의 삶을 결정하 간의 우는 과정에서 여성정이 얼마나 중요한지에 대해 이야기한다.

3 / 10

 

두 번째 날에는 ‘사랑, 성, 욕망에 대하여’를 주제로, 여성의 성에 대한 솔직한 서술을 담고 있는 저서로, 일본에서 최초로 출간된 작품 중 하나인 엔치 후미코의 ‘기다리는 세월(The Waiting Years, 1956)’에 주목한다. 이 소설은 고위 정치인과 결혼한 여성 토모가 남편의 두 번째 아내를 찾는 일을 맡게 되면서, 스스로의 욕망을 희생하는 이야기를 담고 있다. 두 작품 속에서 여성은 가장 심오하고 도발적인 생각을 표현하는 창의적인 인물로서 글의 힘을 구현하고, 이를 통해 다른 여성들의 삶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역할을 한다.

미우미우 문학 클럽 ‘여성의 교육’은 현대 문화와 예술 분야에서 여성들의 목소리에 귀 기울여온 미우미우의 지속적인 관심을 더욱 확장시키기 위해 구상되었다. 이탈리아 문화, 언어, 문학 분야의 작가이자 연구자인 올가 캄포프레다(Olga Campofreda)가 기획한 대담 시리즈에서는 사회 속에서 여성의 위치에 초점을 맞춘 생각과 다양한 사회에서 여성으로서 성장한 참가자들의 경험을 공유하며, 이 특별한 작가들의 글에서 영감을 받은 대화의 장이 열렸다.

3 / 10

 

저명한 작가들로 구성된 패널이 개인적 관점과 직업적 관점에서 양일간 대담을 주도한다. ‘둘도 없는 사이’의 번역가인 프랑스계 미국인 로렌 엘킨(Lauren Elkin), 2022년 ‘모래의 무덤(Tomb of Sand)’으로 국제 부커상을 수상한 인도 출신 소설가이자 단편 작가 기탄잘리 슈리(Geetanjali Shree), ‘로스트 온 미(Lost on Me, 2023)’의 저자이자 프레미오 스트라가 문학상, 비아레지오 레파치상, 다이버스 북 어워드, 모 시우차란상 의 최종 후보 및 2024년 인터내셔널 부커상 롱리스트에 오른 이탈리아 소설가 베로니카 라이모(Veronica Raimo), 홍콩과 쿠알라룸푸르에서 자랐으며 데뷔작 ‘벨리즈(Bellies, 2023)’로 폴라리 퍼스트 북 프라이즈를 수상하고 다이버스 북 어워드와 모 시우차란 상 최종 후보에 오른 니콜라 디난(Nicola Dinan), 선데이 타임스 베스트셀러이자 여성 소설상 최종 후보에 오른 ‘익사이팅 타임스(Exciting Times, 2020)’의 저자인 아일랜드 작가 나오이스 돌란(Naoise Dolan), 그리고 펜/진 스테인 도서상, 윙게이트 문학상, 마크 트웨인상 롱리스트에 올랐으며 웰컴 트러스트 상 최종 후보에 오른 ‘쇠락의 두 가지 유형(The Two Kinds of Decay, 2008)’의 저자인 미국 시인이자 소설가 세라 망구소(Sarah Manguso) 등이 참여했다. 패널 대담의 사회는 작가이자 큐레이터인 루 스토퍼드(Lou Stoppard)와 낭송 시인, 모델, 활동가인 카이 이사야 자말(Kai Isaiah Jamal)이 맡았다. 대담에 이어 양일간 유사한 영감을 불러일으키는 시와 낭독이 라이브 음악 공연과 함께 펼쳐졌다.

이번 행사에서는 ‘둘도 없는 사이(The Inseparables)’와 ‘기다리는 세월(The Waiting Years)’ 등 두 권의 책이 제공된다.

미우미우 문학 클럽은 예술을 장려하기 위해, 미우미우에서 기획하는 다양한 문화 체험 시리즈의 최신 이벤트이다. 2024년 4월에 진행된 첫 번째 문학 클럽, ‘라이팅 라이프(Writing Life)’에서는 이탈리아 페미니스트 작가 시빌라 알레라모(Sibilla Aleramo)와 알바 데 세스페데스(Alba De Céspedes)의 작품 세계를 재조명했다. 그 밖에도 가장 오래된 여성 주도 단편 영화 플랫폼인 미우미우 우먼스 테일과 여성 아티스트와의 패션쇼 콜라보레이션 등 다양한 프로젝트가 진행되고 있다.

미우미우 문학 클럽 및 다양한 활동들은 miumiu.com 을 통해서 확인할 수 있다. 

<아레나옴므플러스>의 모든 기사의 사진과 텍스트는 상업적인 용도로 일부 혹은 전체를 무단 전재할 수 없습니다. 링크를 걸거나 SNS 퍼가기 버튼으로 공유해주세요.

KEYWORD

CREDIT INFO

디지털 매거진

MOST POPULAR

  • 1
    1마일을 4분 만에 들어올 사람 누구?
  • 2
    CCWC 2025써머 룩북 컬렉션 공개
  • 3
    MOVE MOVE MOVE
  • 4
    느좋남 + 다정남 = 배우 김재원에게 스며들다
  • 5
    코첼라를 접수하다

RELATED STORIES

  • FASHION

    캡이 될 수 있는 모자

    언제 어디든 나설 때 툭 얹기만 하면 된다.

  • FASHION

    The Dior Odyssey in Seoul

    디올의 찬미적 유산이 감각의 도시 서울과 만나 새로운 여정이 시작된다.

  • FASHION

    CCWC 2025써머 룩북 컬렉션 공개

    씨씨더블유씨가 '레트로' 키워드로 25SS 시즌을 선보인다.

  • FASHION

    전설은 계속된다

    IWC 샤프하우젠의 새로운 인제니어 컬렉션.

  • FASHION

    SCENE 12

    영화제를 휩쓴 영화 작품 속 가장 강렬한 패션 모멘트.

MORE FROM ARENA

  • ISSUE

    이근 대위 화보 특별과정

  • FASHION

    From the masters

    워치&주얼리를 직접 담당하는 사람들에게 물어본, 소비자가 평소에 백화점 워치&주얼리 쇼핑에 대해 궁금한 것들.

  • FASHION

    시계의 시침과 분침 이야기

    눈이 침침해지도록 그 침들을 들여다보았다.

  • INTERVIEW

    수입차 브랜드의 리더들: 홀거 게르만

    수입차 시장을 선도하는 굵직한 브랜드의 대표들을 만났다. 한국 생활 2년 차에 접어든 그들이 말한다. 한국 자동차 문화와 코로나 시대의 브랜딩 활동, 직장인으로서의 깨달음에 대해.

  • LIFE

    이란, 세 소녀

    히잡 시위를 계기로 이란은 정치적, 사회적, 경제적 혼란기를 겪고 있다. 혁명의 주체는 시민이고 시위대를 이끄는 이들은 히잡을 벗어던진 10대, 20대 여성이다. 세상은 혼란할지라도 일상은 계속되어야 한다. 이란의 10대, 20대 여성과 인스타그램 DM으로 짧은 대화를 나눴다. 혁명 속을 살아가는 소녀들의 이야기를 옮긴다.

FAMILY SI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