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 검색

LIFE MORE+

Tough Taste

강렬한 경험은 쉽게 잊히지 않는다. 거친 맛의 세계로 이끌 피티드 위스키 4종.

UpdatedOn September 13, 2024

보모어 12년


알코올 함유랑 40%│ 용량 700mL
테이스팅 노트 레몬, 꿀, 다크초콜릿

위스키는 지역의 영향을 많이 받는다. 대부분 술이 그렇지만, 위스키는 더욱 진하다. 증류하고 숙성하는 과정에서 지역적 특징이 담기는 까닭이다. 피티드 위스키는 아일라 출신이 대표적이다. 섬의 토양과 기후가 위스키에 피트 향과 바다 내음을 스며들게 했다. 보모어 역시 지역의 특징을 고스란히 한 병에 담는다. 그럼에도 피트 풍미가 지배적이진 않다. 오히려 부드럽고 달콤한 향이 인상을 결정한다. 피트의 성질은 복잡한 풍미를 만들어내는 무대 역할 정도. 피트 강도 역시 20~25ppm으로 높지 않은 편이다. 강렬한한 방이 없다고 아쉬워할 필요는 없다. 그만큼 친절하게 피트의 세계로 인도하니까. 처음 피티드 위스키를 접하는 사람이라면 거부감이 적고그, 다음으로 나아갈 용기를 얻는다. 달콤함 속에서 흙과 바다의 거친 맛을 파악하는 재미 역시.

라가불린 16년


알코올 함유랑 43%│ 용량 700mL
테이스팅 노트 초콜릿, 민트, 레몬

라프로익과 더불어 아일라의 대표 피티드 위스키다. 증류소도 라프로익 옆에 있다. 이름의 의미도 비슷하다. 둘 다스 코틀랜드 게일어로 진창, 움푹 파인 땅(Hollow)이란 뜻을 품었다. 비슷한 점이 많아 맛도 비슷할까? 아니다. 사용하는 물과 피트가 라프로익과 달라 맛은 다르다. 이래서 위스키가 흥미롭다. 처음에는 전형적인 아일라 위스키의 피트 풍미가 강하지만, 점차 과일과 꽃의 향긋함도 내비친다. 엑스버번 오크통과 유럽산 셰리 오크통에서 숙성해 보다 풍성한 풍미를 조합한 결과다. 그만큼 맛이 강렬하면서도 복잡하다는 뜻이다. 피트 강도는 35~40ppm으로 중간 정도. 강렬한 한 방으로 정체성을 알리면서 이후 다층적인 이야기를 전하니 더욱 극적으로 다가온다. 일찍이 위스키 평론가 마이클 잭슨이 최고점을 준 이유겠다.

라프로익 10년


알코올 함유랑 43%│ 용량 750mL
테이스팅 노트 해초, 토피, 바닐라

라프로익을 보면 무라카미 하루키가 떠오른다. 그는 <무라카미 하루키의 위스키 성지여행>에서 라프로익을 이렇게 평했다. ‘그 어떤 싱글 몰트위스키보다도 특별함을 간직한 위스키.’ 그의 말이 진리는 아니지만, 술 좀 마셔본 유명 소설가의 평에 관심이 쏠릴 수밖에 없다. 하지만 아무 정보 없이 그의 말에 끌려 라프로익을 마셨다면 뭔가 속았다는 생각이 들 거다. 일명 소독약 냄새가 나는 위스키를 처음부터 쉽게 받아들일 사람은 적으니까. 라프로익도 안다. 광고 문구에 ‘사랑하거나 싫어하거나(Love It or Hate It)’라고 호불호 강한 개성을 내세웠다. 한 모금 마시면 입안에서 피트의 강렬함이 폭발한다. 이후 흙과 해초 같은 풍미가 밀려온다. 재밌는 건파 고가 지난 후 느껴지는 달콤함. 거칠면서 부드럽고픈 마초성을 자극한달까. 이래서 특별한가 보다.

아드벡 10년


알코올 함유랑 46%│ 용량 700mL
테이스팅 노트 레몬, 토피, 건포도, 배

흔히 아일라 3대 증류소로 라가불린, 라프로익, 아드벡을 꼽는다. 증류소 위치도 아일라섬 남쪽에 나란히 붙어 있다. 이 정도면 이 일대를 아일라 위스키의 성지라 불러도 손색없다. 아드벡은 다른 두 위스키보다 더 강렬하다. 피트 강도는 50~5p5pm. PPM이 높다고 무조건 피트 풍미가 강한 건 아니다. 그럼에도 숫자가 주는 무게감은 분명하다. 홍보 자료에도 이런 문구가 쓰여 있다. ‘현존하는 아일라 몰트위스키 중에서 가장 피트 풍미가 강하다.’ ‘현존하는’ ‘가장’ 같은 단어를 쓸 정도로 강렬한 피트 풍미를 내세운다. 물론 강하기만 하다고 유명한 건 아니다. 위스키는 단편적인 맛만으로 사랑받기 힘들다. 강한 만큼 복잡해야 하고, 강하기에 균형감 각이 중요하다. 아드벡은 그 조건을 충족한다. 노도 같은 피트 풍미를 시작으로 레몬, 토피, 건포도, 배까지 표현하니까.

<아레나옴므플러스>의 모든 기사의 사진과 텍스트는 상업적인 용도로 일부 혹은 전체를 무단 전재할 수 없습니다. 링크를 걸거나 SNS 퍼가기 버튼으로 공유해주세요.

KEYWORD

CREDIT INFO

Editor 김종훈
Photography 박원태

2024년 09월호

MOST POPULAR

  • 1
    MOVE MOVE MOVE
  • 2
    CCWC 2025써머 룩북 컬렉션 공개
  • 3
    올봄, 이렇게만 입으세요
  • 4
    지치고 힘들 때 꺼내볼 믿고 보는 배우 진영의 카운슬링
  • 5
    전설은 계속된다

RELATED STORIES

  • LIFE

    1마일을 4분 만에 들어올 사람 누구?

    올해 6월, 페이스 키피에곤이 여성 최초로 1마일(1.6km)을 4분 안에 완주를 하는 도전에 나선다.

  • LIFE

    Take Eat Slow

    한 끼를 먹더라도 건강하게! 저속노화를 위한 비건 맛집 5

  • LIFE

    코첼라를 접수하다

    퍼스널 컬러가 '코첼라'임을 증명한 6팀의 하이라이트 신.

  • LIFE

    하나의 공간에서 더 많은 경험을!

    일상의 재미를 더하는 동시 공간 5

  • LIFE

    다시 콜드플레이!

    세월이 흘렀어도 콜드플레이는 최정상의 밴드임에 틀림없었다.

MORE FROM ARENA

  • REPORTS

    힙스터 사장님 Ⅰ

    요즘 서울에서 가장 ‘힙한’ 공간 네 곳. 그곳엔 공간을 쏙 빼닮은 멋쟁이 사장들이 있다.

  • LIFE

    아레나의 첫인상

    2006년 3월 창간호부터 지금의 229번째 <아레나>가 만들어지기까지. 지난 19년 동안 함께해온 동료들을 찾아가 물었다. <아레나>의 첫인상은 어땠나요? <아레나>에서 보고 싶은 기사는 무엇인가요? 좋은 잡지는 어떤 잡지일까요? 창간 19주년을 자축하며, 19인에게 들어본 <아레나>의 그때 그 시절.

  • REPORTS

    그 누구도 아닌 김주혁

    누구든 김주혁을 안다. 하지만 누구도 이런 김주혁은 잘 모를 것이다. 어디에 있든 조금 외로워 보이는 그를. 좋아하는 담배를 물고 가만히 앉아 있을 때조차 온갖 감정이 넘실거리는 그 얼굴을. 시니컬한 온정과 투박한 순수가 뒤엉킨, 이 예민한 남자의 명암을. 겨울의 끝, 인적 드문 밤의 공원. 김주혁이 거기에 서 있었다. 어둠에 익숙한 모습으로.

  • AGENDA

    닭 한 마리

    정유년, 붉은 닭의 해가 밝았다. 닭 한 마리로 새해 식탁을 거하게 차려보았다.

  • LIFE

    문영남 유니버스

    마블에 MCU가 있고 DC에 DCEU가 있다면 한국에는 임성한과 김순옥, 문영남, 쟁쟁한 세 작가의 얽히고설킨 막장 드라마 유니버스가 있다. 대중문화 칼럼니스트 복길이 각 작가별 세계관과 인물들을 촌철살인 리뷰하며 계보도를 그렸다.

FAMILY SI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