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 검색

CAR MORE+

장수 자동차

갈라파고스섬의 거북이처럼 진화를 거듭하며 살아남은 차들이 있다. 반세기 넘게 대를 이어온 차들을 모아 그 비결을 들여다봤다.

UpdatedOn August 10, 2023

/upload/arena/article/202308/thumb/54242-519572-sample.jpg

메르세데스-AMG SL

1954

SL의 시초는 1952년 등장한 레이스카 300 SL이다. 코드네임 W194. 등장한 첫해 세상에서 가장 위험한 내구 레이스라 불린 ‘카레라 파나메리카나’에서 우승을 거뒀다. 메르세데스-벤츠는 2년 후인 1954년부터 300 SL을 양산했다. 오늘날의 메르세데스-AMG SL 63 4MATIC+는 그 역사적인 모델의 7세대 R232다. 이 차는 처음부터 지붕이 열리는 로드스터였고, 지금도 메르세데스를 대표하는 로드스터다.

SL 63 4MATIC+는 시리즈 역사상 최초로 고성능 머신 전담 부서 AMG에서 만들었다. 그간의 모든 SL은 벤츠 라인업으로 출시됐지만, 7세대 R232는 SL의 시초가 된 300 SL로 돌아가고자 했고 그 결과 AMG에서 제작을 맡았다. SL 특유의 긴 보닛에는 4.0L V8 바이터보 가솔린 엔진이 실린다. 최대 585마력, 제로백 3.6초를 자랑한다. 7세대가 지나도 역시 로드스터다. 60km로 달리는 중에도 열 수 있는데 시간은 15초면 충분하다.

/upload/arena/article/202308/thumb/54242-519573-sample.jpg

포르쉐 911

1963

지금 포르쉐 코리아 공식 홈페이지에서 911을 검색하면 19종이나 뜬다. 911 뒤에 ‘카레라’ ‘타르가 4S’ ‘터보 S 카브리올레’ ‘GT3’ 등의 이름이 붙는다. 출력, 구동 방식, 엔진, 루프 디자인이 달라짐을 뜻하는 별칭이다. 이번 기사에서 1세대와 현행을 함께 봤을 때 ‘같은 차구나’ 싶은 건 911뿐이다. 개구리 눈 모양 원형 헤드라이트, 특유의 곡선으로 떨어지는 루프라인, 뒷바퀴 축 뒤에 자리한 수평대향 ‘박서’ 엔진. 포르쉐 911만의 전통적 요소다.

911은 세대마다 가치를 인정받는다. 3세대 964는 사륜구동 장치를 적용한 첫 번째 모델, 4세대 993은 마지막 공랭식 엔진 모델 같은 식이다. 그래서 포르쉐 애호가는 911을 ‘964’ ‘996’과 같은 코드네임으로 부른다. 오늘의 911은 992.2. 8.5세대에 해당한다. 포르쉐는 개인화 옵션도 다양하다. 원하는 대로 실내외에 옵션을 추가한 뒤 돈을 쓰고 기다리면 단 하나뿐인 911이 만들어진다. 이 시승차에도 21개 옵션이 적용됐다.

/upload/arena/article/202308/thumb/54242-519571-sample.jpg

토요타 크라운

1955

토요타 크라운은 곧 칠순이다. 애플의 스티브 잡스, 영화 <곡성>과 <범죄도시 3>에 나온 일본 국민 배우 쿠니무라 준과 동갑이다. 크라운은 1955년 출시 이후 일본을 넘어 세계적으로 명성을 떨쳤다. 2023년 6월 한국에 출시된 신형 크라운은 무려 16세대다. 1세대 디자인은 없지만 토요타 크라운이 계승하는 건 디자인이 아닌 기술이다. 모든 세대 크라운은 토요타의 신기술을 집대성했다. 차 전면 왕관 모양 엠블럼만 처음 그대로다.

크라운은 토요타의 플래그십 세단이다. 일본의 그랜저라 생각하면 조금 비슷하다. 차이점은 다양한 차체다. 신형 크라운은 ‘크로스오버’ ‘스포츠’ ‘세단’ ‘에스테이트’ 타입으로 출시되고, 예전에는 픽업트럭이 나오기도 했다. 한국에 출시되는 16세대 크라운은 그중 크로스오버다. 2.4L 듀얼 부스트 HEV AWD는 최고출력 272 마력, 복합 연비 11.0km/L를 기록한다. 2.5C HEV AWD를 선택하면 복합 연비가 17.2km/L까지 올라간다.

/upload/arena/article/202308/thumb/54242-519570-sample.jpg

마세라티 콰트로포르테

1963

보통 자동차 이름은 그 차의 특색을 반영한다. 콰트로포르테는 이탈리아어로 ‘네 개의 문’이다. 궁금해진다. 현행 마세라티는 슈퍼카 MC20을 빼면 모두 4도어다. 왜 굳이 ‘4도어’에 방점을 찍었을까? 이들의 역사에 답이 있다. 마세라티는 점화 플러그 회사에서 출발해 경주용 차를 만들며 이름을 알렸다. 창립 49주년인 1963년 처음으로 ‘고급 스포츠 세단’ 콰트로포르테가 등장했다. 그때 이후 지금까지 자사의 플래그십 세단이다.

마세라티 콰트로포르테는 5세대에 만개했다. 엔초 페라리를 디자인한 켄 오쿠야마가 디자인했다. 마세라티의 상징적 배기음 역시 5세대부터 유명해졌다. 당시 페라리의 신형 V8 엔진이었던 F136 자연흡기 엔진을 가져와 사운드를 튜닝했다. 사운드 작업에는 3세대 콰트로포르테 오너 루치아노 파바로티가 참여했다. 전통은 이어진다. 현행 6세대 최상위 버전 트로페오에는 페라리 V8 3.8L 트윈터보 엔진이 실린다. 최고속도는 326km/h.

<아레나옴므플러스>의 모든 기사의 사진과 텍스트는 상업적인 용도로 일부 혹은 전체를 무단 전재할 수 없습니다. 링크를 걸거나 SNS 퍼가기 버튼으로 공유해주세요.

KEYWORD

CREDIT INFO

Editor 주현욱
Photography 박도현

2023년 08월호

MOST POPULAR

  • 1
    추성훈과 아이들
  • 2
    차강윤, "나중에는 꼭 연출을 하고 싶습니다. 일단 연기로 인정받아야죠. 얼마나 걸릴지 모르지만요."
  • 3
    캡이 될 수 있는 모자
  • 4
    커피 잘 내리는 법
  • 5
    소지섭, "좋은 배우가 되는 가장 빠른 길은 좋은 사람이 되는 거라고 믿습니다."

RELATED STORIES

  • CAR

    이토록 멋진 퍼레이드

    12칠린드리 스파이더의 시동을 거는 순간, 주위에 사람들이 몰린다. 페라리가 기획한 퍼레이드에 동참하는 기분이다. 그냥 운전하는 것뿐인데. 그런 점에서 12칠린드리 스파이더는 퍼레이드에 제격이다. 원래 퍼레이드는 지붕 없이 오가니까.

  • CAR

    Colorful Design

    색으로 보나 디자인으로 보나 다채로운 자동차 넉 대.

  • CAR

    Less, But Better

    볼보가 EX30을 선보였다. 기존에 없던 신모델이다. 형태는 소형 전기 SUV. 접근하기 편하고 쓰임새도 많다. 그러니까 EX30은 성장하는 볼보에 부스트를 달아줄 모델이란 뜻이다. EX30은 임무를 성공적으로 수행할 수 있을까.

  • CAR

    유용하거나 탐스럽거나

    작지만 알찬 자동차. 크고 화려한 자동차. 둘을 놓고 고른다면 답이 빤할까. 둘을 비교하면 그럴지도 모른다. 비교하지 않고 순서대로 타보면 또 다르다. 저마다 이유가 있고 역할이 나뉜다. 전기차 중에서 작고 알차거나 크고 화려한 두 차종을 연이어 타봤다.

  • CAR

    페라리의 세계

    페라리가 태국 방콕에서 열린 ‘우니베르소 페라리’에서 새로운 슈퍼카 F80을 선보였다. 창립 80주년을 기념하여 발매한 차량으로 1984 GTO와 라페라리 아페르타의 계보를 잇는다. 전 세계를 무대로 페라리의 헤리티지를 선보이는 전시에서 레이싱카의 영혼을 담은 로드카를 아시아 최초로 만나보았다.

MORE FROM ARENA

  • LIFE

    2022 17th A-AWARDS

  • FASHION

    What's in my CARRIER

    휴양지로 훌쩍 떠나고 싶은 마음이 동하게 하는 물건들로 채운 캐리어.

  • LIFE

    세월의 숨결이 깃든 빈티지 가구 숍

    새것보다 더 매력적인 건, 세월의 흔적이 고스란히 스며든 물건이 지닌 가치다.

  • FASHION

    BLOOD MOON

    계절을 담은 검붉은 색감처럼 깊고 짙은 존재감을 과시하는 고유의 주얼리들.

  • FASHION

    PUMP UP

    듀베티카의 상식적이고 경쾌한 철학이 담긴 다운 점퍼.

FAMILY SI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