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 검색

INTERVIEW MORE+

빛나는 청춘의 표상, 뷔 커버 공개

방탄소년단 뷔의 남다른 존재감 과시하는 <아레나> 9월호 커버 미리보기

UpdatedOn August 09, 2023

3 / 10

 

방탄소년단 뷔가 <아레나 옴므 플러스> 9월호 커버를 통해 독보적인 존재감을 증명했다. 파리 외곽의 한적한 스튜디오에서 셀린느와 함께 한 이번 커버에서 있는 그대로의 솔직하고 꾸밈없는 모습으로 카메라를 마주한 뷔는 말로 형언할 수 없는 매혹적인 존재, 눈부시게 빛나는 청춘의 표상이었다.

오직 작은 레오퍼드 무늬 스카프 하나를 목에 두르고 헝클어진 머리칼 사이로 보이는 그윽한 눈빛은 가히 치명적이었다. 얼굴을 감싸 안 듯 은밀하게 감춘 포즈에서는 오히려 농밀한 오라가 느껴졌다. 한적한 도로, 드라마틱한 파리의 하늘을 배경으로 우두커니 서있는 모습은 그 자체로 하나의 그림 같았다.

이외에도 뷔 그 자체의 솔직하고 매혹적인 포트레이트가 담긴 더 많은 화보는 <아레나 옴므 플러스> 9월호에서 만날 수 있다. 

<아레나옴므플러스>의 모든 기사의 사진과 텍스트는 상업적인 용도로 일부 혹은 전체를 무단 전재할 수 없습니다. 링크를 걸거나 SNS 퍼가기 버튼으로 공유해주세요.

KEYWORD

CREDIT INFO

디지털 매거진

MOST POPULAR

  • 1
    올봄, 이렇게만 입으세요
  • 2
    이제는 J-팝
  • 3
    그 남자처럼 되고 싶었다
  • 4
    이토록 멋진 퍼레이드
  • 5
    1마일을 4분 만에 들어올 사람 누구?

RELATED STORIES

  • INTERVIEW

    홍화연, "매 순간 진심을 다하려고 해요. 뭔가 결정을 내릴 때는 충분히 고민하고, 최선을 다해 책임져요."

    배우 홍화연의 <아레나> 5월호 화보 및 인터뷰 미리보기

  • INTERVIEW

    정경호, "저는 항상 누구와 함께하느냐가 가장 중요해요."

    배우 정경호의 <아레나> 5월호 화보 및 인터뷰 미리보기

  • INTERVIEW

    <아레나> 5월호 커버를 장식한 이준호

    차분하면서도 농밀한, 이준호의 <아레나> 5월호 커버 공개!

  • INTERVIEW

    차우민이 찾은 것

    친구 따라 PC방에 간 고등학생 차우민은 그날 프로게이머가 아닌 배우를 꿈꾸게 됐다. 그는 배우도 결국 수많은 직업 중 하나라고, 자신은 그저 그 일을 잘해내고 싶은 초년생이라고 소개했다. 드라마 <보물섬>에서 발견한 배우, 차우민을 만나고 왔다.

  • INTERVIEW

    MADE BY L

    칼군무를 자랑하는 2.5세대 아이돌. 사극과 현대극을 넘나드는 주연배우. 귀신 잡는 해병대 1267기. 자신을 지켜보는 이들의 자랑거리가 되고 싶은 남자, 인피니트 엘이 들려준 이야기.

MORE FROM ARENA

  • FASHION

    THE BROWN BUNNY

    새카만 12월의 마지막 밤, 다시 하얗게 차오르는 1월의 첫날. 그사이 꺼내 입은 결연한 옷가지들.

  • INTERVIEW

    오영수가 이야기하는 연극의 매력

    고개를 들어 서로의 얼굴을 쳐다보는 것. 지금 연극이 해야 할 역할이라고 배우 오영수는 말했다.

  • LIFE

    지구촌을 거머쥔 생존의 제왕, 넷플릭스

    가학성 논란을 일으킨 <365일>은 넷플릭스 흥행으로 이어졌다. 디즈니 플러스와의 치열한 경쟁에서 이기려는 전략처럼 보이지만 어딘가 익숙하지 않나? 흥행을 위해 영화 밖 이슈까지 끌어모았던 할리우드 영화 산업을 연상시킨다. 넷플릭스는 논란성 짙은 영화부터 블록버스터, 예술 영화 등 다양한 오리지널 콘텐츠를 제작하며 몸집 불리기에 한창이다. 할리우드 아래 있는 지구촌을 거머쥐기 위한 넷플릭스의 움직임으로 읽힌다. 넷플릭스는 코로나19로 인해 영화 개봉이 불투명해지며 영향력을 잃어가고 있는 할리우드를 대체할 수 있을까?

  • FASHION

    HEAT UP

    몸을 후끈 달아오르게 하는 화끈한 옷.

  • INTERVIEW

    박종진은 반전을 빚는다

    손대면 바스락 부서질 것 같은 형상의 세라믹. 도예가 박종진은 흙과 종이라는 속성이 다른 두 재료를 이용해 예상치 못한 결과를 보여줬다.

FAMILY SI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