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 검색

INTERVIEW MORE+

가죽의 조각적 회화

이 작품은 아뜰리에 에르메스와 현대미술가 7인이 함께하는전시 <전이의 형태(Formes du Transtert)>의 일부. 가죽의 물성을 탐구한 바실리 살피스티의 작품이다.

UpdatedOn December 03, 2021

바실리 살피스티,
<베레니케가 된 복스>,
2018 © 타지오/
에르메스 재단.

바실리 살피스티, <베레니케가 된 복스>, 2018 © 타지오/ 에르메스 재단.

바실리 살피스티, <베레니케가 된 복스>, 2018 © 타지오/ 에르메스 재단.

에르메스 재단은 2010년부터 아티스트 레지던스 프로그램을 진행하며, 매년 4명의 작가를 선발해 에르메스 공방에 초대했다. 참여 작가들에겐 주세페 페노네, 리처드 디콘, 장-미셸 알베롤라 등 세계적인 작가들의 멘토링을 받으며 크리스털, 가죽, 은, 실크와 같이 좀처럼 접하기 어려운 진귀한 재료들을 다뤄보고 에르메스 장인들의 숙련된 기술을 접할 수 있는 기회가 주어졌다. 이는 각 공방의 장인들에게도 뜻깊은 프로젝트였다. 일상적인 작업과는 다른, 젊은 작가들의 창의적이고 신선한 시각을 경험하는 상생의 의미가 되었다. 아티스트 레지던스 프로그램이 어느덧 10주년이 되었고, 이를 기념하여 에르메스 재단은 2021년 12월부터 2022년 4월까지 서울 아뜰리에 에르메스(Atelier Hermes)를 시작으로 도쿄 르 포럼(Le Forum), 프랑스 팡탕 마가쟁 제네로(Magasins generaux)를 돌며 순차적으로 전시를 진행한다. 가장 먼저 전시를 시작하는 서울 아뜰리에 에르메스는 현대미술가 7인과 함께 가죽 공방에 주목하여 ‘전이의 형태’에 대한 의미를 심화하고자 했다.

/upload/arena/article/202112/thumb/49682-473749-sample.jpg

바실리 살피스티, <베레니케가 된 복스>의 일부분, 2018 © 타지오/에르메스 재단.

<전이의 형태(Formes
du Transfert)> 포스터.

<전이의 형태(Formes du Transfert)> 포스터.

<전이의 형태(Formes du Transfert)> 포스터.

바실리 살피스티는 7인의 작가 중 한 명. 그는 회화 작업을 기반으로 다양한 형태와 기법을 활용한 작품을 선보이고 있다. 이번에 전시된 작품에서 살피스티는 가죽의 심미성에서 나타나는 회화적 요소들을 탐구했다. 그러다 베레니케 (Berenice)의 일화를 떠올렸다. 베레니케 이야기는 사자자리 성단의 꼬리가 베레니케의 머리카락으로 변화하는 내용. 즉 동물의 형상이 인간의 일부로 전환된다는 상징성은 살피스티 작업의 영감이 되었다. 그는 가죽 전체 표면의 최소한의 작업을 진행했다. 표면과 질감의 차이, 자연 그대로의 색과 채색된 색의 차이, 브러시 자국과 가죽 본연의 무늬를 활용해 소재의 물리적 특성을 표현했다. 또한 가죽 공방 장인들이 가죽 가장자리에 페인팅하는 작업의 범위를 가죽 표면과 상면까지 확장시켰다. 묵직한 가죽을 벽에 걸었을 때 그 자체의 무게에 의해 스스로 새로운 형태가 되었고, 살피스티는 이 작품을 ‘조각적 회화(Sculptural Painting)’라 묘사했다. 이는 마치 미국의 예술가 로버트 모리스의 <반형체(Anti Form)>를 연상시키기도. 그리고 이렇게 가까이했을 때 머리카락처럼 표현된 회화적 물성을, 멀리했을 땐 조각적인 형태감을 마주할 수 있게 된다. 바실리 살피스티를 비롯한 현대미술가 7인이 참여한 아뜰리에 에르메스 <전이의 형태>는 2021년 12월 10일부터 2022년 1월 30일까지 진행된다.

<아레나옴므플러스>의 모든 기사의 사진과 텍스트는 상업적인 용도로 일부 혹은 전체를 무단 전재할 수 없습니다. 링크를 걸거나 SNS 퍼가기 버튼으로 공유해주세요.

KEYWORD

CREDIT INFO

EDITOR 최태경

2021년 12월호

MOST POPULAR

  • 1
    THE CORE
  • 2
    느좋남 + 다정남 = 배우 김재원에게 스며들다
  • 3
    다시 콜드플레이!
  • 4
    세월의 숨결이 깃든 빈티지 가구 숍
  • 5
    데이비드 베컴, 보스와 함께한 첫 번째 디자인 협업 컬렉션 출시

RELATED STORIES

  • INTERVIEW

    소지섭, "좋은 배우가 되는 가장 빠른 길은 좋은 사람이 되는 거라고 믿습니다."

    배우 소지섭의 <아레나> 5월호 화보 및 인터뷰 미리보기

  • INTERVIEW

    박재범, 반려견 오스카와 함께 한 <아레나 옴므 플러스> 디지털 커버 공개

    이탈리아 럭셔리 브랜드 구찌와 박재범이 함께한 <아레나> 디지털 커버 미리보기

  • INTERVIEW

    차강윤, "나중에는 꼭 연출을 하고 싶습니다. 일단 연기로 인정받아야죠. 얼마나 걸릴지 모르지만요."

    배우 차강윤의 <아레나> 5월호 화보 및 인터뷰 미리보기

  • INTERVIEW

    홍화연, "매 순간 진심을 다하려고 해요. 뭔가 결정을 내릴 때는 충분히 고민하고, 최선을 다해 책임져요."

    배우 홍화연의 <아레나> 5월호 화보 및 인터뷰 미리보기

  • INTERVIEW

    정경호, "저는 항상 누구와 함께하느냐가 가장 중요해요."

    배우 정경호의 <아레나> 5월호 화보 및 인터뷰 미리보기

MORE FROM ARENA

  • LIFE

    의외의 남영동

    시끌벅적하기만 한 대학가는 이제 옛말. 다채로운 레스토랑과 카페가 생겨나는 남영동이 변하고 있다.

  • LIFE

    그렇게 게이머가 된다

    우리가 아버지에게 장기를 배웠듯 언젠가 우리도 아이들에게 게임을 가르칠 날이 올 것이다. 그날을 기다리는 아버지들이 꼽은 자녀와 함께하고 싶은 게임이다.

  • FASHION

    GOLD&BROWN

    밸런타인데이를 위한 달콤한 선물.

  • AGENDA

    조이 유의 순간

    조이 유의 그림을 처음 본 순간 그녀가 부러웠다. 그녀가 바라보는 세상은 밝고, 경쾌했다. 선명한 색과 굵직한 스케치 선. 그녀는 솔직한 사람 같았다. 1995년생 어린 나이임에도 불구하고 전 세계적으로 유명한 작가, 브랜드와 협업해온 그녀가 서울에서 첫 개인전을 연다.

  • INTERVIEW

    주지훈의 자리

    넷플릭스 <킹덤> 시리즈부터 드라마 <하이에나>, 심지어 네이버 시리즈의 짤막한 연기까지, 하는 족족 화제가 됐다. 플랫폼을 넘나드는 배우 주지훈은 삶이란 파도에 몸을 맡기고 예측 불가한 세계 앞에서 그때그때 최선의 답을 찾는다. 주지훈은 말했다. “삶은 참 알 수가 없어요.” 그리고 웃었다. “아주 재미있는 과정을 지나고 있죠.”

FAMILY SI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