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 검색

LIFE MORE+

숲 속의 작은 집

이탈리아 건축가가 설계한 오두막 Mountain Refugee

다시 숲으로, 흙으로 돌아갈 계절이다. 작은 텃밭을 일궈도 좋고, 산을 관망해도, 강물의 윤슬을 보기만 해도 좋은 곳. 그곳에 작은 쉼터를 꾸린다. 집은 아니지만 집보다 안락한 곳. 오두막이든 농막이든 그 무엇이든 자연을 훼손하지 않는 작고 단단한 집이면 된다. 전 세계 숲속에 자리 잡은 작은 집들을 찾았다.

UpdatedOn April 14, 2021

/upload/arena/article/202104/thumb/47777-449626-sample.jpg
3 / 10

 

Mountain Refugee
Massimo Gnocchi


마운틴 레퓨지는 이탈리아의 건축가 ‘마시모 뇨키’와 ‘파올로 다네시’가 설계한 오두막이다. 전통적인 산장에 대한 동시대적 해석이 적용됐다. 인간의 본질, 자연과 역사의 연관성을 경험할 수 있다. 지속 가능성과 디자인 사이의 균형 잡기를 목표로 설계했다. 디자인 아이템이나 기술 시스템 어느 한쪽에 치우치지 않도록 했다. 마운틴 레퓨지는 모듈식 건물이다. 23㎡ 공간에 12㎡ 면적의 모듈을 옵션으로 추가할 수 있다. 재료는 천연 목재와 목재 섬유 단열재다. 구조는 목재 골조에 CLT를 혼합했다. 마운틴 레퓨지의 목적은 세계에서 가장 아름다운 자연을 즐기는 공간이 되는 것. 그래서 온수, 전기, 난방, 폐기물 처리를 제공하는 완전한 오프 그리드 솔루션으로 설계했다. 마운틴 레퓨지는 어디에나 설치할 수 있지만 자연 경관과 조화에 의미를 두고 있어 도시에는 권장하지 않는다. 운반이 쉬운 것도 장점이다. 트럭으로 운반 가능한 최대 크기의 조립식 구조물이며, 단시간에 완성할 수 있다. 설계가 복잡하지 않다. 물, 전기, 난방 등을 자급자족할 수 있는 건물이다. 이탈리아인 건축가 마시모 뇨키는 마운틴 레퓨지를 전 세계에 전달하는 꿈을 꾼다. 그는 이번 여름 한국에서도 마운틴 레퓨지를 만나볼 수 있을 거라 귀띔했다.

<아레나옴므플러스>의 모든 기사의 사진과 텍스트는 상업적인 용도로 일부 혹은 전체를 무단 전재할 수 없습니다. 링크를 걸거나 SNS 퍼가기 버튼으로 공유해주세요.

KEYWORD

CREDIT INFO

EDITOR 조진혁
GUEST EDITOR 정소진

2021년 04월호

MOST POPULAR

  • 1
    <아레나> 5월호 커버를 장식한 이준호
  • 2
    차강윤, "나중에는 꼭 연출을 하고 싶습니다. 일단 연기로 인정받아야죠. 얼마나 걸릴지 모르지만요."
  • 3
    CCWC 2025써머 룩북 컬렉션 공개
  • 4
    캡이 될 수 있는 모자
  • 5
    LONG&LEAN

RELATED STORIES

  • LIFE

    1마일을 4분 만에 들어올 사람 누구?

    올해 6월, 페이스 키피에곤이 여성 최초로 1마일(1.6km)을 4분 안에 완주를 하는 도전에 나선다.

  • LIFE

    Take Eat Slow

    한 끼를 먹더라도 건강하게! 저속노화를 위한 비건 맛집 5

  • LIFE

    코첼라를 접수하다

    퍼스널 컬러가 '코첼라'임을 증명한 6팀의 하이라이트 신.

  • LIFE

    하나의 공간에서 더 많은 경험을!

    일상의 재미를 더하는 동시 공간 5

  • LIFE

    다시 콜드플레이!

    세월이 흘렀어도 콜드플레이는 최정상의 밴드임에 틀림없었다.

MORE FROM ARENA

  • FILM

    BREITLING x 권영돈

  • FASHION

    The Fashion Wave in Lemon City

    피렌체를 레몬으로 노랗게 물들인 106번째 피티 워모 여정의 발자취.

  • LIFE

    런던의 맛 7

    지금 런던이 사랑하는 7가지 음식. 모두 건강하고 착한 맛이다.

  • INTERVIEW

    Craftsmanship Of Seoul #구두선생

    세상은 무정하게 변한다. 열심히 살면 무엇이 남나. 들어버린 나이와 늙은 음악과 촌스러운 영화들만 주변에서 반복된다. 그럼에도 살아 있으니까 삶의 의미를 찾기 위한 여정을 시도한다. 세월에 무임승차해 지나간 풍경을 곱씹으며 인생이 고장 났던 순간만 복기할 따름이다. 그런 와중에도 우리는 일정하게 정차한다. 간이역에서 책임질 것을 찾아 두리번거리다 빈손으로 다시 열차에 오르길 반복하다 보면 어느덧 누군가의 손을 잡고 있다. 그때쯤 차창 풍경에도 무심해진다. 변하는 시대 흐름에 맞춰 업력도 능력도 키워야 한다는 것은 알지만, 무엇을 해볼까. 고민하는 사이 기회는 스무 살의 꿈처럼 구름 뒤로 사라지고 열차는 황혼에 들어선다. 이달 우리는 장인들을 만났다. 50년간 구두를 수리했거나, 60년간 시계를, 40년간 기타를, 60년간 오디오를 수리한 사람들 . 한 가지만을 고쳐온 장인들에게 변하는 세상에서 우직할 수 있었던 힘에 대해 물었다.

  • INTERVIEW

    이이담, “좋은 배우도 의미 있지만 좋은 어른이 되고 싶어요.”

    배우 이이담의 <아레나> 2월호 화보 미리보기

FAMILY SI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