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 검색

LIFE MORE+

일상 속 비일상

완전히 새로운, 지금까지는 없던, 오직 단 하나의…. 그런 것이 있을까? 하는 회의가 들 때, 늘 있어왔던 것을 달리 보이게 하는 것이 예술가의 업이다. 친숙한 것과 낯선 것을 뒤섞어 일상에 틈입시키는 세 작가의 작품을 소개한다.

UpdatedOn October 30, 2020

3 / 10
/upload/arena/article/202010/thumb/46420-432302-sample.jpg

Resonance, 2020, 620x810x170(h)cm_11.

Resonance, 2020, 620x810x170(h)cm_11.

3 / 10
/upload/arena/article/202010/thumb/46420-432303-sample.jpg

Gossura, Tacit Truth, 2020, 18x6x10.5(h)cm each.

Gossura, Tacit Truth, 2020, 18x6x10.5(h)cm each.

1 밤과 낮

익숙한 장소에 기묘하게 틈입하기. 구정아 작가의 인광(燐光) 스케이트 파크 조각 ‘resonace’는 2012년 프랑스 바시비에르섬에서 첫선을 보인 이래로 그의 대표작으로 자리 잡은 설치 연작이다. 이번 구정아 작가의 개인전 <2O2O>에서는 두 개의 크고 작은 요람 형태로 디자인되어 PKM갤러리 별관 정원에 설치된다. 작품인 동시에 스케이트보더들에게 개방되는 시설물이기도 한 이 작품은 순수 미술과 서브컬처의 만남이자, 예술과 실용의 공존이다. 본관에 전시되는 인광 회화 ‘Seven Stars’ 시리즈와 인광 조각 ‘Gossura, Tacit Truth’는 조명의 켜고 꺼짐이 반복되는 갤러리 본관 공간에 설치되어, 밝음과 어둠 사이 두 가지 양상으로 존재한다. 조명의 빛을 어둠에 방사하는 이 단순한 오브제는 제한된 공간을 넘어 더 먼 곳으로 관객을 데려간다. 갤러리는 구정아 작가의 작품들을 빛의 유무에 따라 다르게 감상할 수 있도록 갤러리 개방 시간을 정오부터 일몰 이후인 저녁 9시까지로 연장했다. 11월 28일까지.
PKM갤러리 02-734-9467

3 / 10
/upload/arena/article/202010/thumb/46420-432304-sample.jpg

소리 나는 가물(家物), 2020, 사진 명이식, 국립현대미술관 제공.

소리 나는 가물(家物), 2020, 사진 명이식, 국립현대미술관 제공.

2 낯선 사물

양혜규는 일상과 관습 위에 기묘한 표상을 씌워 낯선 존재로 탈바꿈시킨다. ‘소리 나는 가물(家物)’은 일상적 가물인 다리미, 마우스, 헤어 드라이어, 냄비의 형상에 방울과 짚을 엮어 매달고, 복제해 맞붙이거나 교차한 혼종 가물을 만들어냈다. 손잡이와 바퀴를 지닌 이것은 밀면 방울 소리가 난다. 방울을 금속 링으로 엮어, 층고 높은 전시장 천장까지 길게 드리운 ‘소리 나는 동아줄’은 바닥에서 한 번 울리면 서로 시차를 두고 공명하며 먼 곳의 천둥 같은 소리를 낸다. 인공 짚을 엮어 만든 조각 연작 ‘중간 유형’은 천장에 매달린 채 땅에도 하늘에도 속하지 못한 이무기처럼 전시장을 부유한다. 구렁이도, 발을 달고 걸어 다니는 소쿠리도, 방패도 있다. 인간과 동물, 무생물 사이 기묘한 피조물이 어슬렁거리며 배회하는 이 전시는 양혜규 개인전 <MMCA 현대차 시리즈 2020: 양혜규—O2 & H2O>의 일부이다. ‘소리 나는 가물(家物)’을 비롯해 인공지능 음성 작업으로 진짜란 무엇인지 질문을 던지는 ‘진정성 있는 복제’ 등 양혜규 작가의 작품 40여 점을 선보인다. 물리적 실재와 추상화된 기호 사이의 미끄러짐을 포착하듯, 산소와 물의 화학 기호를 전시 제목으로 삼았다. 2021년 2월 28일까지.
국립현대미술관 02-3701-9500

/upload/arena/article/202010/thumb/46420-432305-sample.jpg

Philippe Parreno, Speech Bubbles(Fuchsia), 2015, Fuchsia Mylar balloons, helium, 68x109x29 cm each, Courtesy the Artist and Esther Schipper, Berlin, photo © Roman Maz.

3 말풍선

필립 파레노는 오브제보다 프로젝트가 중요하다고 믿는다. 그는 장소에 특화된 설치미술이 어떻게 주변 환경을 바꾸는지 고안하고, 비언어적 스토리텔링을 고민한다. ‘Speech Bubbles’는 헬륨 말풍선들이 갤러리 천장을 가득 채우며 거대한 만화 같은 풍경을 만든다. 그것들은 구름처럼 한데 모이기도, 부유하기도 하며 공간에 소리 없는 이야기들을 메운다. 팬데믹으로 어디에도 모이지 못하게 된 인간들 대신 와글와글 수다를 쏟듯이. 갤러리 바톤에서 필립 파레노를 비롯한 리암 갈릭, 레베카 워렌, 마커스 암, 앤 콜리어, 토브아스 레베르거, 현대 미술 작가 6인의 전시<A Little After The Millennium>을 진행 중이다. 21세기를 맞으며 희망찬 꿈에 부풀었던 인류는 정확히 20년 뒤, 팬데믹으로 인해 인류의 생활 방식과 모든 패러다임이 바뀌는 국면을 맞았다. 이에 작가들은 각자의 방식으로 이 시대 미술의 존재 이유가 무엇인지 묻는다. 10월 20일부터 11월 20일까지.
갤러리 바톤 02-597-5701

<아레나옴므플러스>의 모든 기사의 사진과 텍스트는 상업적인 용도로 일부 혹은 전체를 무단 전재할 수 없습니다. 링크를 걸거나 SNS 퍼가기 버튼으로 공유해주세요.

KEYWORD

CREDIT INFO

EDITOR 이예지

2020년 11월호

MOST POPULAR

  • 1
    MOVE MOVE MOVE
  • 2
    그 남자처럼 되고 싶었다
  • 3
    느좋남 + 다정남 = 배우 김재원에게 스며들다
  • 4
    섹스와 알코올
  • 5
    엘 그리고 김명수의 인생에서 가장 기억에 남은 순간

RELATED STORIES

  • LIFE

    1마일을 4분 만에 들어올 사람 누구?

    올해 6월, 페이스 키피에곤이 여성 최초로 1마일(1.6km)을 4분 안에 완주를 하는 도전에 나선다.

  • LIFE

    Take Eat Slow

    한 끼를 먹더라도 건강하게! 저속노화를 위한 비건 맛집 5

  • LIFE

    코첼라를 접수하다

    퍼스널 컬러가 '코첼라'임을 증명한 6팀의 하이라이트 신.

  • LIFE

    하나의 공간에서 더 많은 경험을!

    일상의 재미를 더하는 동시 공간 5

  • LIFE

    다시 콜드플레이!

    세월이 흘렀어도 콜드플레이는 최정상의 밴드임에 틀림없었다.

MORE FROM ARENA

  • LIFE

    찬바람 불 때 오뎅바 4

    고단했던 일주일을 녹여줄 따끈한 어묵과 시원한 맥주가 있는 곳.

  • LIFE

    소리를 찾아서

    이제껏 경험하지 못했던 남다른 소리를 원한다면 눈여겨봐야 할 물건과 공간.

  • CAR

    모터쇼 재발견

    2년 만에 열린 국내 최대 모빌리티 축제 ‘서울모빌리티쇼’에서 2022년 자동차 트렌드를 발견했다. 기대할 만한 트렌드만 모았다.

  • INTERVIEW

    그냥 초아야

    3년 전이었다. 초아는 무대 뒤로 갔고, 그대로 증발했다. 근황도 없었다. 그리고 때늦은 장맛비처럼 갑자기 돌아왔다. 마음을 비우고 한결 편안해진 자연 그대로의 모습으로. 초아가 겪은 지난 3년간의 심경 변화를 글로 옮긴다.

  • FASHION

    그들만의 스타일

    색이 뚜렷한 6명의 젊은 스타일리스트와 그들의 정체성이 드러나는 스타일링 포인트.

FAMILY SI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