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 검색

INTERVIEW MORE+

살롱의 법칙

넷플연가 전희재

때로는 모르는 사람에게 더 솔직해진다. 요즘 유행하는 모임들이 있다. 흔히 살롱이라고 통칭되는데, 여기에 가면 마음이 무장 해제되어 친구에게도 못한 이야기를 술술 쏟아내게 된다고 한다. 왜 지금 사람들은 살롱에 가는 걸까. 모임을 만들고 운영하는 사람들에게 물었다.

UpdatedOn January 03, 2020

/upload/arena/article/201912/thumb/43694-396678-sample.jpg

 

• COMMUNITY •
넷플연가 
전희재

 

창작자의 공간 공유 넷플연가는 넷플릭스를 보고 이야기하는 모임이다. 직장인이 퇴근 후 참여할 수 있도록 저녁 7시 30분부터 모임을 갖는다. 장소는 창작자의 공간이다. 창작자가 퇴근한 이후 사용하지 않을 때 그 공간을 모임 장소로 대여한다. 넷플연가는 특별한 공간을 남는 시간에 공유하는 방식을 선택했다.

영화를 주제로 넷플연가는 동시다발적으로 여러 공간에서 여러 모임이 열린다. 영화에 등장한 음료를 만드는 모임, <굿 플레이스>의 윤리학에 대해 이야기하는 모임, <그 여자 작사 그 남자 작곡>을 보고 직접 작사하는 모임, <먹고 사랑하고 기도하라>를 보고 요가 하는 모임 등 다채롭다.

넷플릭스 그 후 넷플릭스 시대를 사는 사람들의 모임이다. 사람들은 고민한다. 결혼해야 하고, 새로운 기술도 배워야 하고, 미래도 준비해야 한다. 고민거리를 안고 살지만 퇴근 후에는 넷플릭스 보며 잠든다. 넷플연가는 그다음을 제시한다. 넷플릭스를 보고 어떤 생각을 했나? 그래서 요즘 어떤 고민을 하고 있는지 사람들이 모여 대화를 나눈다.

마음 터놓는 자리 넷플연가는 어느 정도 균일한 대화가 이루어지는 조건을 만들고자 한다. 좋은 사람들과 좋은 대화를 나눠서 즐겁거나 고민에 대한 더 나은 답을 찾는 것이 가장 중요하게 생각한다. 대화를 나누기 좋은 사람을 만나는 건 어려운 일이다.

뜨거운 모임 <500일의 썸머>와 관련된 모임의 반응이 좋았다. 사랑을 주제로 한 모임은 항상 인기가 좋다. 영원히 풀리지 않는 문제이고, 사람들이 친밀함을 느끼는 주제이기도 하다. 영화에 나온 음식이나 음료를 기반으로 이야기하고, 직접 만들어보는 체험형 모임도 반응이 뜨겁다.

의무감 없는 관계 모임에선 새로운 사람을 만나고, 그들과 어느 정도 깊이 있게 대화할 수 있다. 고민을 털어놓으면 친구들은 쉽게 넘길 수도 있지만, 모임에서 처음 만난 사람들은 오히려 진지하게 받아준다. 비슷한 관심사와 가치관을 공유하는 사람들과의 만남이기에 친구보다 더 깊은 대화를 나누게 된다. 동시에 단발성 모임이기에 만남을 지속해야 할 의무나 책임은 낮다. 20~30대는 이러한 관계를 선호하는 경향이 있다.

살롱을 찾는 이유 넷플연가의 전희재 대표는 얼마 전 친구에게 들은 얘기로 답했다. ‘서른 살이 넘으면 사람 만나거나 집에서 넷플릭스 보는 정도가 취미 생활의 끝이다. 당연히 어느 정도 검증된 좋은 사람들을 좋은 매체를 통해 만날 수 있다면 당연히 사람들이 모일 수밖에 없다’라는 것이다. 즉 살롱 문화는 비교적 쉽게 자신이 좋아하는 것과 좋아하는 사람을 찾는 20~30대의 성향에 맞춰 자연스럽게 생겨난 라이프스타일 중 하나인 셈이다.

편견과 넷플릭스 시대 창작자의 공간을 활용한 이유는 직장인과 창작자를 연결시켜보자는 의도에서였다. 일반 직장인과 창작자는 서로 어렵게 생각하는 경향이 있는데, 창작자나 직장인 모두 일을 마치면 넷플릭스를 본다. 서로 생각의 결이 달라 편견이 생기는 것이다. 창작자나 직장인이나 똑같은 사람이다. 그중 괜찮은 사람이 존재하는 것이다. 그 편견을 깨고 싶었다.

넷플연가의 핵심 넷플릭스를 보고 창작자의 아지트 혹은 어떤 공간에서 만나는 게 넷플연가의 핵심이다. 퇴근하고 괜찮은 놀 거리를 만드는 게 목표다. 퇴근 후 술을 마시거나 요가를 배울 수도, 놀 거리를 즐길 수도 있을 것이다. 하지만 사람 만나서 무언가 하고 싶다는 생각이 들 때 넷플연가를 찾게 만들고 싶다.

2020년은 살롱의 해 요즘 유행하는 살롱은 2020년에 엄청나게 많이 생기고, 2021년에는 몇 개 남지 않을 것이라 생각한다. 물론 새로운 형태의 모임이 지속적으로 등장하겠지만, 지난해부터 유로 살롱이 등장했고, 오프라인 콘텐츠를 개발하는 사람들이 공을 많이 들이기 시작했다. 그러니 살롱의 수준이 높아지고 실험도 많이 이루어지리라 본다. 결과적으로 좋은 모임만 남지 않을까.

살롱의 법칙

살롱의 법칙 시리즈

 

남의 집 김성용

살롱드북 강명지

월간서른 강혁진

<아레나옴므플러스>의 모든 기사의 사진과 텍스트는 상업적인 용도로 일부 혹은 전체를 무단 전재할 수 없습니다. 링크를 걸거나 SNS 퍼가기 버튼으로 공유해주세요.

KEYWORD

CREDIT INFO

EDITOR 조진혁
PHOTOGRAPHY 조성재

2020년 01월호

MOST POPULAR

  • 1
    박재범, 반려견 오스카와 함께 한 <아레나 옴므 플러스> 디지털 커버 공개
  • 2
    가길 잘했다, 남해
  • 3
    코첼라를 접수하다
  • 4
    1마일을 4분 만에 들어올 사람 누구?
  • 5
    추성훈과 아이들

RELATED STORIES

  • INTERVIEW

    완벽함과 유연함 사이의 준호

    어느덧 17년 차. 수많은 노래와 배역 사이를 이준호는 치열하게 오갔다. 완벽함을 바라는 마음은 그를 시종일관 몰아붙였다. 그의 노력에 걸맞게 팬들의 환호는 지구 반대편에서도 울려 퍼졌다. 그렇게 달려가던 이준호는 이제 유연함을 바라본다. 완벽에 다다르는 길이 하나만 있지 않기에.

  • INTERVIEW

    소지섭, "좋은 배우가 되는 가장 빠른 길은 좋은 사람이 되는 거라고 믿습니다."

    배우 소지섭의 <아레나> 5월호 화보 및 인터뷰 미리보기

  • INTERVIEW

    박재범, 반려견 오스카와 함께 한 <아레나 옴므 플러스> 디지털 커버 공개

    이탈리아 럭셔리 브랜드 구찌와 박재범이 함께한 <아레나> 디지털 커버 미리보기

  • INTERVIEW

    차강윤, "나중에는 꼭 연출을 하고 싶습니다. 일단 연기로 인정받아야죠. 얼마나 걸릴지 모르지만요."

    배우 차강윤의 <아레나> 5월호 화보 및 인터뷰 미리보기

  • INTERVIEW

    홍화연, "매 순간 진심을 다하려고 해요. 뭔가 결정을 내릴 때는 충분히 고민하고, 최선을 다해 책임져요."

    배우 홍화연의 <아레나> 5월호 화보 및 인터뷰 미리보기

MORE FROM ARENA

  • LIFE

    새로운 세대의 스타일

    MZ 세대는 모든 측면에서 기존 세대와 확연한 차이를 드러낸다. 디지털, 전자 디바이스를 활용하는 그들의 새로운 라이프스타일.

  • LIFE

    맛있게 시작할래

    맛있고 달콤한 것들로 채워가는 2월.

  • SPECIAL PICK

    남극의 시계

    대단히 아름답고도 혹독한 겨울의 절정을 담았다.

  • LIFE

    THIS MONTH ISSUE

  • FASHION

    Curtain Call

    박수 받아 마땅한 이번 시즌의 주요 룩 14.

FAMILY SI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