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 검색

INTERVIEW MORE+

살롱의 법칙

남의 집 김성용

때로는 모르는 사람에게 더 솔직해진다. 요즘 유행하는 모임들이 있다. 흔히 살롱이라고 통칭되는데, 여기에 가면 마음이 무장 해제되어 친구에게도 못한 이야기를 술술 쏟아내게 된다고 한다. 왜 지금 사람들은 살롱에 가는 걸까. 모임을 만들고 운영하는 사람들에게 물었다.

UpdatedOn December 31, 2019

/upload/arena/article/201912/thumb/43691-396654-sample.jpg

 

• COMMUNITY •
남의 집 
김성용

 

남의 집 프로젝트 시작은 3년 전이다. 연희동 셰어 하우스에서 남자 셋이 동고동락했다. 거실은 낯선 손님으로 북적였고, 모르는 사람들과 어울려 친분을 쌓는 게 즐거움인 시절이었다. 당시 공유 경제와 O2O 서비스업에 종사하던 김성용은 회사에서 배운 공유 서비스를 현실에 적용해보기로 했다.

가설 증명하기 모르는 사람 집에 돈을 내고 놀러 갈 사람이 있을까? 김성용 대표는 자신의 셰어 하우스에서 가설을 실험했고, 많은 사람들이 거리낌 없이 돈을 내고 와 책을 읽고, 쉬어 갔다. 손님 중에는 이 프로젝트를 자신의 집에서 할 생각이 없냐는 역제안을 하기도 했다. 가설은 증명됐고 모임 횟수가 늘수록 남의 집 프로젝트의 성과도 차곡차곡 쌓였다.

미지의 공간 ‘퇴근 후 여행한 기분이었어요.’ 모임 참가자는 남의 집을 다녀오는 것이 여행과 같은 느낌이었다고 한다. 여행하는 이유에는 새로운 곳을 탐험하고자 하는 욕망이 있다. 파리의 루브르 박물관이나 앙코르 와트는 입장료만 내면 누구나 들어갈 수 있다. 하지만 타인의 집은 초대받지 않는 이상 들어갈 수 없다. 그래서 남의 집이야말로 미지의 영역이다. 퇴근 후 미지의 영역을 경험하는 것은 일상을 벗어나는 특별한 경험이 된다.

취향을 중심으로 남의 집은 취향을 중심으로 모인다. 취미는 비슷하고, 두 번 다시 볼지 모르는 사람들과 미지의 공간에서 서너 시간 동안 대화를 나눈다. 이 모임은 퇴근 후 경험하는 짧고 강렬한 여행이 된다. 가성비 높은 여행인 셈. 문지기 김성용은 세상의 집 하나하나가 모두 여행 상품이라고 한다.

호스트의 역할 모임을 주최하는, 그러니까 집주인이 모임 호스트를 맡는다. 하지만 호스트가 모임을 이끄는 주체는 아니다. 대화의 주제를 꺼내고, 마실 것을 준비하는 역할을 한다. 거기까지다. 공통 주제 아래 손님들은 자기 이야기를 하느라 바쁘다. 남의 집은 대화를 중심으로 여는 모임이다. 모임의 주된 재화가 대화다. 모르는 사람들과 모였을 때 자연스레 대화가 이루어져야 하기에, 미리 손님에게 말하고 싶은 이야기를 준비해오길 권한다.

집의 힘 집이 주는 힘이 있다. 신발을 벗고 양말만 신은 채 온돌 바닥에 철푸덕 앉으면, 몸도 마음도 무장 해제되는 기분이다. 집이라는 사적인 공간에선 타인에 대한 경계가 허물어진다. 자연스레 말이 쏟아져 나온다.

방문 신청서 손님은 남의 집에 놀러 가기 전에 방문 신청서를 작성한다. 집주인은 손님들의 글을 읽고 초대할 사람을 선별한다. 이야기가 잘 통할 사람을 찾는 것이다. 모임의 재화가 대화이기 때문에 서비스 만족도는 대화 매칭율에 좌우된다. 손님은 최소 3명에서 최대 8명까지로 제한한다. 한 주제로 다 함께 이야기를 나눌 수 있는 적정 인원이 8명인 것이다.

시시콜콜한 대화 최대한 시시콜콜하고, 시덥지 않으며, 어깨 힘 빼고 편하게 얘기할 수 있는 내용을 모임의 주제로 삼는다. 한없이 가벼운 내용이기 때문에 성공 스토리를 가진 사업가나, 특별한 경험을 한 연사가 아니더라도 누구나 호스트가 될 수 있다.

이런 호스트 저런 호스트 ‘남의 집 모임’은 대화가 주된 재화라면, ‘남의 집 서재’는 말을 아낀다. 손님은 책장의 책을 읽거나 자신의 책을 가져와 읽는 등 남의 집을 카페처럼 이용한다. 호스트는 공간을 소개하기만 하면 된다.

이해관계 없는 사람들 모임 참가자들은 지금의 나로서 대화할 기회를 찾는다. 지금 자신의 관심사, 좋아하는 주제 아래 모인 사람들을 만난다. 이전에도 몰랐고, 앞으로도 서로 알고 지낼 필요 없는, 이해관계 없는 사람들과 몇 시간 동안 자신의 관심사로 소통한다는 점에 참가자들은 의의를 둔다.

남의 집이라는 콘텐츠 남의 집은 익명성과 단발성 모임을 지향한다. 이름을 안 밝힌다는 뜻은 아니다. 동호회처럼 차수가 있는 모임은 자연스레 권력이 생기곤 한다. 운영자가 있고, 팔로어와 팔로잉 관계가 생기는 것이다. 하지만 처음 만난 시점에는 모두가 평등하다. 모르는 사람들과 만나면 대화권이 공평하게 주어진다. 또 단발성 모임이라 대화의 자유도가 높다. 사회생활하며 얽힐 사이가 아니니 솔직하게 된다. 오프라인 대나무숲이랄까.

살롱의 법칙

살롱의 법칙 시리즈

 

살롱드북 강명지

월간서른 강혁진

넷플연가 전희재

<아레나옴므플러스>의 모든 기사의 사진과 텍스트는 상업적인 용도로 일부 혹은 전체를 무단 전재할 수 없습니다. 링크를 걸거나 SNS 퍼가기 버튼으로 공유해주세요.

KEYWORD

CREDIT INFO

EDITOR 조진혁
PHOTOGRAPHY 조성재

2020년 01월호

MOST POPULAR

  • 1
    소지섭, "좋은 배우가 되는 가장 빠른 길은 좋은 사람이 되는 거라고 믿습니다."
  • 2
    MIU MIU LITERARY CLUB
  • 3
    아웃도어 소사이어티
  • 4
    Take Eat Slow
  • 5
    정경호, "저는 항상 누구와 함께하느냐가 가장 중요해요."

RELATED STORIES

  • INTERVIEW

    완벽함과 유연함 사이의 이준호

    어느덧 17년 차. 수많은 노래와 배역 사이를 이준호는 치열하게 오갔다. 완벽함을 바라는 마음은 그를 시종일관 몰아붙였다. 그의 노력에 걸맞게 팬들의 환호는 지구 반대편에서도 울려 퍼졌다. 그렇게 달려가던 이준호는 이제 유연함을 바라본다. 완벽에 다다르는 길이 하나만 있지 않기에.

  • INTERVIEW

    소지섭, "좋은 배우가 되는 가장 빠른 길은 좋은 사람이 되는 거라고 믿습니다."

    배우 소지섭의 <아레나> 5월호 화보 및 인터뷰 미리보기

  • INTERVIEW

    박재범, 반려견 오스카와 함께 한 <아레나 옴므 플러스> 디지털 커버 공개

    이탈리아 럭셔리 브랜드 구찌와 박재범이 함께한 <아레나> 디지털 커버 미리보기

  • INTERVIEW

    차강윤, "나중에는 꼭 연출을 하고 싶습니다. 일단 연기로 인정받아야죠. 얼마나 걸릴지 모르지만요."

    배우 차강윤의 <아레나> 5월호 화보 및 인터뷰 미리보기

  • INTERVIEW

    홍화연, "매 순간 진심을 다하려고 해요. 뭔가 결정을 내릴 때는 충분히 고민하고, 최선을 다해 책임져요."

    배우 홍화연의 <아레나> 5월호 화보 및 인터뷰 미리보기

MORE FROM ARENA

  • LIFE

    요나 지그리스트 '자유의 밴'

    낡은 밴을 구해 캠퍼 밴으로 개조한 사람들이 있다. 그들은 자신의 캠퍼 밴을 타고, 세계를 돌아다니며 살아간다. 여행이 아니다. 삶의 방식이며, 자유를 갈망하는 사람들의 깨달음이다. 어디든 갈 수 있고, 어디서나 경이로움을 느끼는 움직이는 집. 밴 라이프를 실천 중인 7팀이 말하는 진정한 자유의 의미다.

  • LIFE

    손맛으로 한다

    튕기고, 긁고, 돌리고, 발사하고. ‘손맛 좋은’ 게임들.

  • LIFE

    이륜차 배달원을 순한 양처럼 달리게 하려면 필요한 것들

    도로에 오토바이가 늘고 있다. 이륜차 배달원들의 위험한 질주도 잦아졌다. 운전자들의 불만은 거세고, 사고는 빈번히 일어난다. 하지만 이륜차 배달원은 더 빨리 가야만 한다. 또 더 많이 이동해야 하고. 문제는 시스템이다. 배달원과 고객, 플랫폼 모두가 종속된 시스템의 문제다. 오토바이와 자동차가 공생할 방안이 필요하다.

  • INTERVIEW

    끝과 시작

    조각가 최우람은 기계 생명체를 만든다. 그가 만든 생명체들은 아름답게 움직이고, 현란하게 빛을 발한다. 기계 생명체와 공존하는 현실을 상상하며 최우람 작가와 대화를 나눴다. 두 시간의 인터뷰 동안 대화의 주제는 기계와 생명, 집단지성과 알고리즘, 우주와 인간, 환경과 인류세, 종교와 믿음, 생과 사를 오갔다.

  • FASHION

    휴일의 냄새

    세탁이 나른한 휴일 낮의 취미라면.

FAMILY SI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