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 검색

INTERVIEW MORE+

서사무엘의 화합

서사무엘은 인터뷰 내내 연주자들에 관해 이야기했다. <UNITY>에서 화합을 이룬 사람들이 얼마나 멋진 아티스트인지에 대해서.

UpdatedOn October 08, 2018

/upload/arena/article/201810/thumb/40113-335945-sample.jpg

이상하게 서사무엘은 고독한 아티스트 같았다. 음악적으로 추구하는 방향이 확실하고, 미디어에는 꼭 필요한 모습만 보였기 때문이었을까. 하지만 스튜디오에서 만난 서사무엘은 그 모습과 실제 자신은 완전히 다르다고 말했다. 정말 웃음 많고 잘 어울리는 사람이라고, 오히려 그런 이미지로 비치길 원하지 않는다고. 이 말을 증명이라도 하듯, 최근 발표한 앨범 <UNITY>에는 서사무엘이 꿈꿔온 화합이 담겨 있다.

“1집과 2집 앨범 작업은 거의 혼자 했어요. 그래서 다른 연주자들과 화합할 때 나오는 에너지의 소중함을 잊고 있었던 것 같아요”라고 말했다. 콕 집어서 연주자라고 말한 게 인상적이었다고 느끼는 찰나, 이야기를 덧붙였다. “이번 앨범에서는 연주자들이 자기 색깔을 마음껏 표출하길 바랐어요. 저는 최소한의 흐름만 제시했을 뿐이에요.” 자신이 이번 앨범에서 뭘 했고, 어떻게 했는지에 대해 말하는 건 중요하지 않아 보였다. 더 중요하다고 생각한 연주자들에 대해 말을 이어갔다. “사실, 음악 얘기가 나오면 연주자들이 상대적으로 뒷전 취급받는 게 싫었어요. 가끔은 어쩔 수 없다고 느끼기도 하지만, 그래도 저 같은 사람이 중간 역할을 해서 그들을 알려야 한다고 생각해요. 이렇게 멋진 음악인들이 많다는 걸 알릴 때 모두 행복해진다고 느끼기도 하고요.”

서사무엘의 말에 따르면 <UNITY>는 정규 앨범이 아닌, 세 번째 앨범으로 가기 위한 ‘징검다리 역할’을 하는 작업물이다. 하지만 그 어떤 정규 앨범보다 큰 의미가 있는 건 분명했다. “지금까지의 작업물은 모두 ‘내 안의 대중성이란 어떤 게 있을까’라는 생각에서 비롯된 결과물이었어요. 하지만 <UNITY>는 달라요. 앞으로는 제가 듣고 싶은 음악만 할 거예요. 그 때문에 굶어도 상관없어요. 사실, 제가 정말 하고 싶은 걸 했을 때 사람들이 더 좋아하는 것 같기도 해요. ‘창문’이라는 곡이 그랬어요. 어릴 때 정말 듣고 싶었던 소리로 만들어낸 음악이거든요.” 한 명의 아티스트로서 색깔을 잃지 않겠다는 다짐이자, 앞으로 만들 음악에 대한 뚜렷한 확신이었다. 인터뷰를 마칠 때쯤 이루고 싶은 목표에 관해 물었다. “80세에는 학교를 짓고 싶어요. 손으로 소리 내는 것만 바라보고 살아온 연주자들이 안 굶었으면 좋겠어요. 그들을 지원할 학교, 그런 학교를 제 손으로 어떻게 해서든 지을 거예요.”
 

 서사무엘이 영향받은 밴드 3 

모두 ‘어떻게 해야 소리의 알맹이를 만들 수 있을까’에 대해 항상 고민하는 사람들이에요. 일반적으로 통용되는 가치와 조금 다른 가치를 추구하는 사람들이죠. 그런데 그 가치가 저와 맞닿아 있어요. 이런 가치를 지닌 아티스트가 생각보다 많지 않다 보니까, 자연스럽게 그들에게 영향받는 것 같아요.

CADEJO
연주를 정말 잘해요. 미쳤다는 소리가 나올 만큼이요. 알맹이가 있는 연주를 하려고 정말 노력하는 밴드예요. 농익은 연주란 무엇인지 보여주는 밴드죠.

김반장과 윈디시티
이들의 음악에는 영혼이 있어요. 공연에서도, 자신들이 관객을 위해 무엇을 해줄 수 있는가를 먼저 고민하는 밴드예요.

ASH ROCK
요즘 떠오르는 밴드 중에 가장 멋있다고 생각해요. 연주부터 시작해서 음악, 공연의 작은 구성 하나하나까지 흐트러짐 없이 고민 많이 하는 밴드예요.

<아레나옴므플러스>의 모든 기사의 사진과 텍스트는 상업적인 용도로 일부 혹은 전체를 무단 전재할 수 없습니다. 링크를 걸거나 SNS 퍼가기 버튼으로 공유해주세요.

KEYWORD

CREDIT INFO

GUEST EDITOR 이승환
PHOTOGRAPHY 이정규
STYLIST 김영진
HAIR&MAKE-UP 윤혜정

2018년 10월호

MOST POPULAR

  • 1
    완벽함과 유연함 사이의 이준호
  • 2
    섹스와 알코올
  • 3
    차강윤, "나중에는 꼭 연출을 하고 싶습니다. 일단 연기로 인정받아야죠. 얼마나 걸릴지 모르지만요."
  • 4
    느좋남 + 다정남 = 배우 김재원에게 스며들다
  • 5
    올봄, 이렇게만 입으세요

RELATED STORIES

  • INTERVIEW

    완벽함과 유연함 사이의 이준호

    어느덧 17년 차. 수많은 노래와 배역 사이를 이준호는 치열하게 오갔다. 완벽함을 바라는 마음은 그를 시종일관 몰아붙였다. 그의 노력에 걸맞게 팬들의 환호는 지구 반대편에서도 울려 퍼졌다. 그렇게 달려가던 이준호는 이제 유연함을 바라본다. 완벽에 다다르는 길이 하나만 있지 않기에.

  • INTERVIEW

    소지섭, "좋은 배우가 되는 가장 빠른 길은 좋은 사람이 되는 거라고 믿습니다."

    배우 소지섭의 <아레나> 5월호 화보 및 인터뷰 미리보기

  • INTERVIEW

    박재범, 반려견 오스카와 함께 한 <아레나 옴므 플러스> 디지털 커버 공개

    이탈리아 럭셔리 브랜드 구찌와 박재범이 함께한 <아레나> 디지털 커버 미리보기

  • INTERVIEW

    차강윤, "나중에는 꼭 연출을 하고 싶습니다. 일단 연기로 인정받아야죠. 얼마나 걸릴지 모르지만요."

    배우 차강윤의 <아레나> 5월호 화보 및 인터뷰 미리보기

  • INTERVIEW

    홍화연, "매 순간 진심을 다하려고 해요. 뭔가 결정을 내릴 때는 충분히 고민하고, 최선을 다해 책임져요."

    배우 홍화연의 <아레나> 5월호 화보 및 인터뷰 미리보기

MORE FROM ARENA

  • LIFE

    쿠사마 아요이를 보는 세 개의 시선

    1950년대, 기모노에 달러를 숨기고 뉴욕으로 와서 숱한 갤러리의 문을 두드리며 회화부터 설치, 퍼포먼스까지 온몸을 던져 예술가로서 인정받고자 했던 한 여성이 있었다. 다큐멘터리 영화 <쿠사마 야요이: 무한의 세계> 개봉을 기다리며, 큐레이터, 아티스트, 정신과 전문의 3인이 쿠사마 야요이라는 독특하고 대체 불가한 아티스트를 각자의 시각으로 들여다보았다.

  • FASHION

    Season's Coloring Ⅱ

    가을 초입에 맞닿은 계절의 색, 머스터드.

  • INTERVIEW

    감독 토마스 알프레드슨

    <렛 미 인> <팅커 테일러 솔저 스파이> 감독, 토마스 알프레드슨의 세계는 설원처럼 고요하지만 무언가 벌어지고 있다. 그가 말하는 침묵과 소란, 차가움과 뜨거움의 대위법.

  • LIFE

    나무 위 오두막 Treetop Hotel

    다시 숲으로, 흙으로 돌아갈 계절이다. 작은 텃밭을 일궈도 좋고, 산을 관망해도, 강물의 윤슬을 보기만 해도 좋은 곳. 그곳에 작은 쉼터를 꾸린다. 집은 아니지만 집보다 안락한 곳. 오두막이든 농막이든 그 무엇이든 자연을 훼손하지 않는 작고 단단한 집이면 된다. 전 세계 숲속에 자리 잡은 작은 집들을 찾았다.

  • INTERVIEW

    데드풀과 울버린의 남자

    <데드풀과 울버린> 개봉을 앞두고 서울 한복판에서 숀 레비 감독을 만났다. 그는 영화가 좋아서 영화감독이 됐고, 영화가 일이 된 지금도 여전히 영화가 좋다고 했다. 숀 레비가 말하는 좋은 영화와 좋은 영화를 만드는 법.

FAMILY SI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