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 검색

LIFE MORE+

ECO

에너지를 모으는 집

UpdatedOn October 01, 2018

3 / 10
/upload/arena/article/201809/thumb/40045-334694-sample.jpg

 

 

Eco Interview
삼간일목
권현효 소장

패시브 하우스는 아직 우리에게 낯선 개념이다. 친환경 집이라는 것은 알겠는데, 어떻게 건축되고 작동 방법은 무엇인지 일반인은 쉽게 이해되지 않는다. 국내에서 꾸준히 패시브 하우스를 설계해온 삼간일목의 권현효 건축가를 만나 패시브 하우스에 대해 알려달라고 자문을 부탁했다. 아래 글은 그의 설명을 쉽게 풀이한 내용이다.

패시브 하우스의 어원은 수동적인 집이라는 뜻이다. 능동적인 에너지 그러니까 보일러, 히터 등 난방장치를 사용하지 않고 겨울철 20℃, 여름에는 26℃의 실내 온도를 유지하는 건물을 뜻한다. 실내 적정 온도는 낮에 태양에서 얻는 일사 에너지, 거주자의 몸에서 나오는 열, 전등이나 전자제품에서 나오는 열이 건물 밖으로 빠져나가지 않게 차단하고, 실내 공간에 보존하는 것이다. 일반 가정에서는 난방 에너지 즉 석유 화석 에너지를 사용해 실내 온도를 유지한다. 하지만 최초 독일에서 시작된 패시브 하우스는 이 에너지를 사용하지 않는 것이 철칙이었다. 좌식 생활을 하는 우리나라는 등허리를 ‘지지기’ 위해서라도 패시브 하우스에 보일러를 보조적으로 사용하는데, 한 번 보일러를 가동하면 그 열기가 며칠간 지속되어 한겨울에 억지로 창문을 열어 열기를 빼내는 경우도 있다고 한다.

날씨와 관계없이 일정 온도를 유지하는 것이 패시브 하우스의 목표이자 결과물이다. 추가적으로 태양광 패널 등을 설치하면 제로 에너지 건물로 만들 수 있다. 액티브 요소를 추가할수록 플러스 에너지 빌딩까지 구현이 가능하지만 아직까지 소비자는 난방비를 줄이는 데 주목하는 단계다. 패시브 하우스는 단열, 기밀, 고성능 창호, 열교환 환기장치를 바탕으로 일반 건물보다 난방 에너지를 80% 절약한다. 겨울철 한 달 난방비를 20만원 냈다면, 패시브 하우스에서는 4만원이면 된다. 건물 성능이 높아야 하기에 패시브 하우스는 건축 과정이 까다로운 편이다. 설계를 한 다음 에너지 시뮬레이션이 의무적이다. 패시브 하우스는 정량화된 건물로서 모든 것을 수치로 말한다. 재료의 열전도율, 열저항값, 건물의 모양, 표피, 공간 높이를 숫자로 계산한다. 건물이 1년에 생산하는 에너지를 정량화하는 과정이 필수적이다. 그리고 건축할 지역의 기후 데이터를 분석하고, 이를 고려해 에너지를 설계한다. 꼼꼼하게 짓고, 검사하고, 정식 인증을 받아야 패시브 하우스가 완성된다.

권현효 건축가는 패시브 하우스가 에너지를 절약하는 동시에 건축적인 측면도 향상되길 바란다. “오스트리아에는 아름답고 효율적인 패시브 하우스가 많아요. 패시브 하우스가 보급되면 재료비도 낮아질 테고 그럼 우리도 건축적으로도 뛰어난 패시브 하우스를 지을 수 있으리라 기대해요.” 어차피 에너지는 절약하지 않으면 안 되는 현실이다. 기능성과 아름다움이 공존하는 건물을 짓는 것은 우리 모두의 목표일 것이다.
 

3 / 10

시리즈 기사

시리즈 기사

 

슬기로운 에코 생활

없어도 좋아

에너지가 줄어드는 공간

친환경 드라이빙
친환경적인 행동을 디자인하다
지구를 지키는 텀블러
쓰고 쓰고 쓰는 디자이너
가능한 생활

<아레나옴므플러스>의 모든 기사의 사진과 텍스트는 상업적인 용도로 일부 혹은 전체를 무단 전재할 수 없습니다. 링크를 걸거나 SNS 퍼가기 버튼으로 공유해주세요.

KEYWORD

CREDIT INFO

EDITOR 조진혁
PHOTOGRAPHY 이정규

2018년 10월호

MOST POPULAR

  • 1
    1마일을 4분 만에 들어올 사람 누구?
  • 2
    The Dior Odyssey in Seoul
  • 3
    이토록 멋진 퍼레이드
  • 4
    벨루티 X 이준호
  • 5
    '열심히', '꾸준히'를 습관처럼 말하는 준호에게 빠질 수밖에 없는 이유

RELATED STORIES

  • LIFE

    HAND IN HAND

    새카만 밤, 그의 곁에서 영롱하게 빛나는 물건 둘.

  • INTERVIEW

    스튜디오 픽트는 호기심을 만든다

    스튜디오 픽트에겐 호기심이 주된 재료다. 할머니댁에서 보던 자개장, 이미 현대 생활과 멀어진 바로 그 ‘자개’를 해체해 현대적인 아름다움을 더했다. 공예를 탐구하고 실험적인 과정을 거쳐 현대적인 오브제를 만들고자 하는 두 작가의 호기심이 그 시작이었다.

  • INTERVIEW

    윤라희는 경계를 넘는다

    색색의 아크릴로 만든, 용도를 알지 못할 물건들. 윤라희는 조각도 설치도 도자도 그 무엇도 아닌 것들을 공예의 범주 밖에 있는 산업적인 재료로 완성한다.

  • FASHION

    EARLY SPRING

    어쩌다 하루는 벌써 봄 같기도 해서, 조금 이르게 봄옷을 꺼냈다.

  • INTERVIEW

    윤상혁은 충돌을 빚는다

    투박한 듯하지만 섬세하고, 무심한 듯하지만 정교하다. 손이 가는 대로 흙을 빚는 것 같지만 어디서 멈춰야 할지 세심하게 고민한 결과물이다. 상반된 두 가지 심성이 충돌해 윤상혁의 작품이 된다.

MORE FROM ARENA

  • FASHION

    JUST DANCE

    나만 아는 리듬과 템포로, 아무 고민 없이 흔들흔들.

  • FASHION

    STUNNING

    넘치는 신발장 속에 하나라도 더 채워 넣고 싶은 네 가지 신발들.

  • INTERVIEW

    이승윤, “여전히 방구석 음악인”

    뮤지션 이승윤의 화보와 인터뷰 미리보기

  • AGENDA

    Welcome to Moonshine

    돌려 말하지 않는다. 시장 논리 따위에 굴복하지 않고, 한 치의 망설임 없이 표현한다. 그래서 거칠다. 김심야와 손대현의 믹스테이프 〈Moonshine〉.

  • FASHION

    MONTBLANC X MAISON KITSUNE

    몽블랑과 메종 키츠네의 캡슐 컬렉션이 선사하는 단지 둘 이상의 시너지.

FAMILY SI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