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 검색

FASHION MORE+

블루종

일 잘하는 사람이라면 한번쯤 입어봤을 거다.

UpdatedOn June 29, 2017

3 / 10
/upload/arena/article/201706/thumb/34956-237336-sample.jpg

 

 

 

1 옅은 모래색 블루종 58만원 그렌펠 by 오쿠스 제품. 
2 빨간색 타탄 체크 안감이 돋보이는 블루종 7만9천원 워리어 클로딩 by P.B.A.B. 제품.

 

어찌된 일인지 우리나라에서는 ‘아저씨 점퍼’로 통하지만 대개 ‘바람막이 점퍼’ ‘골프 점퍼’ ‘해링턴 재킷’으로 불리는 이것, ‘블루종’. 많은 사람들이 블루종의 시조로 떠올리는 ‘바라쿠타(Baracuta)’의 G9은 1937년 영국 맨체스터에서 아이작 밀러와 존 밀러가 탄생시켰다. 스탠드업 칼라, 래글런 소매, 글렌 타탄 체크 안감으로 무장한 이것은 1950년경 미국으로 수출되면서 전성기를 맞이한다. 당대 최고 아이돌, 〈이유 없는 반항〉의 제임스 딘과 〈열정의 무대〉의 엘비스 프레슬리가 입었으니, 길거리엔 블루종을 차려입고 한껏 멋에 취한 사내들로 넘쳐났다. 특히 스티브 맥퀸은 일상과 작품 속에서 블루종에 대한 애정을 열렬히 드러냈는데, 1963년 〈라이프〉 매거진의 커버를 장식할 때도 G9을 입고 있었다. 이때부터 블루종은 남성적이고, 지위와 권위가 있는 남성의 전유물로 자리 잡는다. 이들을 보고 자란 대한민국 아재들, 그 당시를 추억하며 오늘까지 열심히 입는 것은 아닐는지.

그럴 만도 한 것이, 블루종의 가장 큰 매력은 실용성과 기능성이기 때문이다. 품이 넉넉하고 방수 기능이 탁월하니 활동적인 직업을 가진 사람들에게 유용하다. 일 좀 열심히 하는 남자라면 한 번쯤 입어봤을 거다. 본디 남자는 일할 때 가장 빛나 보이는 법. 미국인이 가장 존경하는 남자로 꼽는 버락 오바마 대통령이 실무를 볼 때 이러한 형태의 재킷을 착용한 사실은 익히 포착된 바 있다. 존 F. 케네디, 빌 클린턴 역시 블루종 애호가로 유명하다. 편안하지만 단정하고 격이 없어 보이는 덕에 최고 권력자인 대통령들 역시 애용해온 것이다. 바라쿠타와 함께 오랜 역사를 자랑하는 ‘그렌펠(Grenfell)’은 1923년 선교사 윌프레드 그렌펠의 이름을 딴 첫 직물을 개발하면서 시작됐는데, 그 목적이 ‘선교지에서 바람을 막을 수 있는 숨 쉬는 원단’을 만드는 것이었다. 그러니 이 재킷, 태초부터 실용성을 안고 태어난 셈이다. 최근의 ‘너드’ ‘놈코어’ 트렌드에 휩쓸려 단지 외면적으로만 착해 보이거나, 평범을 ‘추구하는’ 아이템 정도가 아니라는 말이다.

의외로, 1970년대에는 영국의 스킨헤드족과 모드족에게 큰 인기를 얻기도 했다. 스킨헤드족의 유래를 따져보면 본래 (인종차별주의 성향이 아닌) 노동자 계급 성향이 아니었던가. 힘든 노동으로 거친 성격을 가진 이들은 노동하기에 편한 옷과 신발을 챙겨 입고 머리에 이가 생기지 않도록 삭발을 한, 전형적으로 축구를 좋아하는 영국 청년이었다. 모드족 역시 ‘열심히 일해 번 돈으로 잘 만든 옷 한 벌 구입해 입고 다니자’라는 정신의 멋쟁이 청년들이었으니, 이들이 영국 문화를 상징하는 타탄 체크 안감이 달린 블루종에 열광했다는 사실은 이상한 일이 아닐 거다. ‘워리어 클로딩(Warrior Clothing)’은 이 정통성을 고스란히 담아 보다 합리적인 가격의 블루종을 출시한다.

주변에 이 재킷을 입고 다니는 남자가 있는가? 그렇다면 ‘어떻게 멋스럽게 스타일링하느냐’보다 ‘이 재킷이 가진 성향을 제대로 알고 입는 남자인가’에 주목할 것. 후자라면, 곁에 오래 두고 볼 일이다. 진짜 남자의 멋이 무엇인지 아는 진국일 테니까. 그리고 새 시대를 맞이한 이 시점. 바라건대, 우리의 대통령이 이 옷을 꽤 자주 입는 행보를 보였으면 좋겠다는 생각을 하는 건 나뿐만이 아닐 것이라 점쳐본다.

3 / 10

 

<아레나옴므플러스>의 모든 기사의 사진과 텍스트는 상업적인 용도로 일부 혹은 전체를 무단 전재할 수 없습니다. 링크를 걸거나 SNS 퍼가기 버튼으로 공유해주세요.

KEYWORD

CREDIT INFO

EDITOR 노지영
PHOTOGRAPHY 기성율

2017년 06월호

MOST POPULAR

  • 1
    그 남자처럼 되고 싶었다
  • 2
    러너들이 선택한 길
  • 3
    코첼라를 접수하다
  • 4
    하나의 공간에서 더 많은 경험을!
  • 5
    <아레나> 5월호 커버를 장식한 이준호

RELATED STORIES

  • FASHION

    캡이 될 수 있는 모자

    언제 어디든 나설 때 툭 얹기만 하면 된다.

  • FASHION

    The Dior Odyssey in Seoul

    디올의 찬미적 유산이 감각의 도시 서울과 만나 새로운 여정이 시작된다.

  • FASHION

    CCWC 2025써머 룩북 컬렉션 공개

    씨씨더블유씨가 '레트로' 키워드로 25SS 시즌을 선보인다.

  • FASHION

    MIU MIU LITERARY CLUB

    미우미우가 2025년, 두 번째 문학 클럽 '여성의 교육(A Woman’s Education)'을 선보인다.

  • FASHION

    전설은 계속된다

    IWC 샤프하우젠의 새로운 인제니어 컬렉션.

MORE FROM ARENA

  • ARTICLE

    [A-tv] ARENA x EMPORIO ARMANI WATCH

  • INTERVIEW

    이준혁의 확신

    배우 이준혁은 서두르지 않는다. 데뷔 15년 차인 지금도 배우 일이 한 편의 마술 쇼에 참여하는 것 같다고 했고, 출연할 작품을 장르로 구분하기보다, 연기할 캐릭터가 시대적 정서와 관심사를 관통하기를 바란다. 천천히 걷지만 목적지는 선명하고, 그의 걸음은 확신에 차 있다.

  • FASHION

    SUNDANCE

    마음 들뜨는 5월의 하늘 아래서 크레이지 카 워시 크루와 함께 춤을.

  • INTERVIEW

    그 남자네 집: 스타일리스트 권순환

    유독 집에서 보내는 시간이 길었던 올 한 해. 라이프스타일이 각기 다른 남자들에게 집에서 시간을 보낸 방법과 연말에 대한 구상을 물었다. 그리고 저마다 애착 가는 물건에 대해서도.

  • LIFE

    코로나 때 어떻게 하셨어요?

    비대면과 거리두기의 코로나 시대가 불과 몇 년 전이다. 많은 이별과 폐업과 변화를 만들어낸 이 병의 특징 중 하나는 극단적으로 낮은 20대 발병률과 사망률이었다. 즉 20대는 한창 나이에 마스크를 끼고 시작도 하지 않은 밤의 술자리를 빠져나와야 했다. 이 시대 젊은이들의 섹스는 어땠을까? 더했을까 덜했을까?

FAMILY SI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