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 검색

AGENDA MORE+

가볍게

말릴수록 과일 고유의 향과 맛이 깊어지고, 영양분이 풍부해진다. 게다가 보관까지 쉬우니 자꾸 찾을 수밖에.

UpdatedOn June 01, 2017

3 / 10
/upload/arena/article/201705/thumb/34636-231572-sample.jpg

 

 

1 청포도
청포도는 일반 적포도보다 당도가 높다. 과즙을 그대로 함유한 청포도를 요구르트에 넣어 함께 먹으면 좋다. 쫄깃한 식감까지 더해 색다른 맛을 느낄 수 있다.

2 자몽
자몽은 본래 달지만은 않은 과일이다. 건조하면 시큼한 맛이 더 강해진다. 물에 넣어 마시는 방법을 추천한다. 몸의 독소를 제거해주는 효과까지 얻을 수 있다.

3 사과
아삭한 식감은 없지만, 입에 넣고 오물거리면 싱싱한 사과 향이 그대로 살아난다. 건조한 사과는 맛과 향이 강해져 요리할 때 조미료로 사용하기도 한다.

4 딸기
동결 건조된 딸기는 일반 딸기보다 보관하기 쉽다. 먹기 전에 우유나 물에 불리면 본래 모습으로 돌아온다. 시리얼과 함께 우유를 부어 먹으면 한 끼 식사 대용으로 더할 나위 없다.

5 비트
비트는 손질이 쉽지 않다. 하지만 잘 말린 비트는 간편하게 먹을 수 있다. 물에 넣어 우리면 특유의 쌉쌀한 맛은 물론 비트 본연의 색이 퍼져 보기도 좋다. 또 기름에 살짝 튀기면 고소한 맛이 배가돼 간식으로 제격이다.

6 방울토마토
방울토마토를 말리면 기존 물컹한 식감 대신 쫄깃한 식감을 느낄 수 있다. 말린 토마토는 당도가 높지 않아 와인과도 잘 어울린다.

7 천도복숭아
탐스럽게 잘 익은 천도복숭아는 그냥 먹어도 달달하지만, 건조하면 당도가 더 높아진다. 잘게 잘라 채소와 함께 샐러드로 먹으면 아삭한 채소와 복숭아의 쫄깃한 식감이 조화롭다.

8 키위
키위는 건조할수록 새콤한 맛이 배가된다. 신맛이 강해진 키위는 물에 넣어 우리면 단맛이 짙어진다. 수시로 꺼내 마실 만큼.

9 오렌지
아사삭 소리를 내며 입속에서 부서진다. 물에 넣어 마시면 오렌지의 싱그런 향을 더 느낄 수 있다. 초콜릿이나 비스킷 위에 얹어 먹는 것도 추천한다.

10
잘 말린 배는 씹을수록 달큼한 향이 특징이다. 홍차나 허브티에 곁들여 먹어도 좋고, 따뜻한 물에 우려 마시면 환절기 목 건강에도 좋다.

11 참외
건조한 참외는 낯설다. 하지만 한 조각 먹으면 아삭하게 씹히면서 달달한 향이 입안에 확 퍼진다. 맛이 가장 단 제철 참외만을 말린다.

12 수박
서걱서걱 씹히는 수박 맛을 느끼기는 어렵다. 수분은 날아갔지만 고유의 단맛은 그대로 간직했다. 씨와 함께 씹으면 고소한 맛이 더해져 계속 손이 간다.

13 멜론

멜론의 시원한 향이 그대로 느껴지며 식감이 쫄깃하다. 프로슈토와 함께 먹으면 짭짤한 맛과 달콤한 맛이 어우러져 술안주로 좋다.

<아레나옴므플러스>의 모든 기사의 사진과 텍스트는 상업적인 용도로 일부 혹은 전체를 무단 전재할 수 없습니다. 링크를 걸거나 SNS 퍼가기 버튼으로 공유해주세요.

KEYWORD

CREDIT INFO

GUEST EDITOR 김윤희
PHOTOGRAPHY 기성율
COOPERATION 디프룻, 트루

2017년 05월호

MOST POPULAR

  • 1
    커피 잘 내리는 법
  • 2
    지치고 힘들 때 꺼내볼 믿고 보는 배우 진영의 카운슬링
  • 3
    플랜테리어 어렵지 않아요
  • 4
    <아레나> 5월호 커버를 장식한 이준호
  • 5
    데이비드 베컴, 보스와 함께한 첫 번째 디자인 협업 컬렉션 출시

RELATED STORIES

  • LIFE

    HAND IN HAND

    새카만 밤, 그의 곁에서 영롱하게 빛나는 물건 둘.

  • INTERVIEW

    스튜디오 픽트는 호기심을 만든다

    스튜디오 픽트에겐 호기심이 주된 재료다. 할머니댁에서 보던 자개장, 이미 현대 생활과 멀어진 바로 그 ‘자개’를 해체해 현대적인 아름다움을 더했다. 공예를 탐구하고 실험적인 과정을 거쳐 현대적인 오브제를 만들고자 하는 두 작가의 호기심이 그 시작이었다.

  • INTERVIEW

    윤라희는 경계를 넘는다

    색색의 아크릴로 만든, 용도를 알지 못할 물건들. 윤라희는 조각도 설치도 도자도 그 무엇도 아닌 것들을 공예의 범주 밖에 있는 산업적인 재료로 완성한다.

  • FASHION

    EARLY SPRING

    어쩌다 하루는 벌써 봄 같기도 해서, 조금 이르게 봄옷을 꺼냈다.

  • INTERVIEW

    윤상혁은 충돌을 빚는다

    투박한 듯하지만 섬세하고, 무심한 듯하지만 정교하다. 손이 가는 대로 흙을 빚는 것 같지만 어디서 멈춰야 할지 세심하게 고민한 결과물이다. 상반된 두 가지 심성이 충돌해 윤상혁의 작품이 된다.

MORE FROM ARENA

  • LIFE

    Z세대 아티스트 100 Part3

    젠지들은 무엇이든 할 수 있고, 누구든지 될 수 있다. 1990년대 중반 이후 태어난 세대를 뜻하는 젠지들의 가치관이다. 사진가이자 모델이자, 소설가이자, 래퍼가 되는 것은 그들에게 놀라운 일이 아닐뿐더러, 경계를 나누고, 장르화하며, 정체성을 규정짓는 행위 또한 의미가 없다. 전 세계 젠지들 중 주목할 아티스트 100명을 모았다. 그들의 움직임이 지금이자 미래다.

  • LIFE

    빌런에서 레전드로

    데드맨은 영혼이 없으니 맞아도 괴로워하지 않았다. 필살기를 당해도 좀비처럼 깨어나 영웅을 굴복시켰다. 침대에서 레슬링을 연마하던 우리는 정의가 무너졌다며 좌절했다. 우리는 정의가 무엇인지 몰랐지만, 어떻게 생긴 건진 알았다. 근육질의 밝고 쾌활한 아저씨다. 정의란 강하고, 절대적이며, 악당은 비열하고 오만한 것임을 프로레슬링을 보며 체득했다. 오컬트 캐릭터는 이해할 수 없었지만, 여느 안티테제가 그렇듯 관중을, 아이들을 매혹시켰다. 그런 언더테이커가 지난 11월 20일 은퇴했다. 빌런에서 레전드가 된 그의 커리어를 짚는다.

  • LIFE

    할리우드 중년의 리즈 시절

    문득 추억 속 배우들이 떠올랐다. 지금이야 연기 잘하는 명배우들이지만, 그들도 외모 전성기 시절이 있었다. 그들의 ‘리즈’ 시절과 스타일이 궁금해 찾아봤다.

  • LIFE

    영화관에 대한 단상

    언젠가부터 영화관에 잘 가지 않는다. 볼 영화가 없어서? 다른 볼 게 많아서? 사람 많은 게 불편해서? 그냥 안 가다 보니까? 영화관에 가는 건 첫 번째 문화생활이었다. 유년 시절부터 지금을 관통하는 추억의 매개체이기도 했다. 그런 영화관이 멀게 느껴졌다. 그러던 중에 대한극장이 문 닫는다는 소식이 들렸다. 가만히 영화관을 떠올려봤다 . 영화관은 우리에게 어떤 의미지?

  • DESIGN

    Unbreakable

    골격부터 외피까지 단단함이 닮았다, 철갑을 두른 다섯 자동차.

FAMILY SI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