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 검색

INTERVIEW MORE+

숨 쉬는 스펙터클

최우람이 창조한 금속성의 생태계 앞에 넋을 잃고 선다.

UpdatedOn January 10, 2017

3 / 10
/upload/arena/article/201701/thumb/33088-201185-sample.jpg

Scarecrow, 2012, Electric wire, metallic material, motor, hydraulic cylinder, custom CPU board, metal halide lamp.

Scarecrow, 2012, Electric wire, metallic material, motor, hydraulic cylinder, custom CPU board, metal halide lamp.

URC-1, 2014, Motor Headlights, Steel, COB LED, Aluminum radiator, DMX controller, PC.

URC-1, 2014, Motor Headlights, Steel, COB LED, Aluminum radiator, DMX controller, PC.

URC-1, 2014, Motor Headlights, Steel, COB LED, Aluminum radiator, DMX controller, PC.

Nox Pennatus, 2005, Metallic material, machinery, acrylic, electronic device(CPU board, motor).

Nox Pennatus, 2005, Metallic material, machinery, acrylic, electronic device(CPU board, motor).

Nox Pennatus, 2005, Metallic material, machinery, acrylic, electronic device(CPU board, motor).

Pavilion, 2012, Resin, wood, crystal, 24K gold leaf, plastic bag, metallic material, fan, motor,custom CPU board, LED.

Pavilion, 2012, Resin, wood, crystal, 24K gold leaf, plastic bag, metallic material, fan, motor,custom CPU board, LED.

Pavilion, 2012, Resin, wood, crystal, 24K gold leaf, plastic bag, metallic material, fan, motor,custom CPU board, LED.

금속성 재료로 조립한 거대한 물체가 유영하듯 움직인다. 정교한 마디마디를 움츠렸다 편다. 숨을 쉬는 것 같다. 간혹 아가미를 뻐끔거리기도 하면서. 생명체는 각종 기계 부품과 부속, 모터들로 구성된다. 그것은 때로 물고기이며 곤충이기도 하고 꽃이며 파충류다. 금속 꽃은 흐느끼듯 핀다. 금속성의 표면을 비집고 새어 나오는 찬란한 빛에 멍해지기도 한다.

최우람이 만든 거대 생태계다. 차가운 기계 부품들로만 이루어진 작품들은 마치 온기를 품은 생명체로 느껴진다. 모두 금방이라도 뭉근하게 데워진 심장을 꺼내놓을 것 같다. 유기적으로 완벽하게 작동해 아름다움을 넘어 신비로움을 자아낸다. 최우람은 기계와 모터, 컴퓨터 프로그램을 활용해 움직이는 조각을 만든다. 그는 이를 ‘기계생명체(Anima-Machine)’라 부른다.

최우람의 기계생명체 한 점은 국립현대미술관 서울관에서 상설 전시 중이다. 이름은 ‘오르페르투스 루눌라 움브라’. 최우람은 과학자처럼, 독특한 미학적 상상력에 컴퓨터 프로그램 기술을 과학적으로 결합한다. 각각의 생명체에 유기적이며 마땅한 운동 방식, 동력, 재료를 쥐어준다. 그러고는 고고학적인 상상력을 바탕으로 가상의 이야기를 더한다. 유사-라틴어 학명을 붙이기도 한다. ‘오르페르투스 루눌라 움브라’라는 이름처럼 말이다. 그렇게 태어난 거대한 금속의 ‘기계생명체’는 고요한 공간 속에서 존재를 증명한다. 작가 최우람에게 움직임은 곧 살아 있음이다.

이번 전시 이름은 <스틸 라이프(stil laif)>다. 전시에서는 지난 2002년 만든 초기 기계생명체부터 2016년의 신작까지 20점을 소개해 그의 작품 전반을 만날 수 있다.

최우람은 2006년 도쿄 모리미술관의 개인전 <도시 에너지-MAM Project004>와 제6회 상하이 비엔날레를 통해 국제적으로 주목받기 시작했다. 이후 도쿄 스카이 더 배스하우스, 뉴욕 비트폼 갤러리, 뉴욕 아시아 소사이어티, 국립현대미술관, 서울시립미술관, 삼성미술관 리움, 상하이 비엔날레, 맨체스터 트리엔날레, 싱가포르 아트 뮤지엄 등 국내외 주요 미술관 그룹전과 비엔날레에 참여했다.

전시 <스틸 라이프(stil laif)>는 2017년 2월 12일까지. 대구미술관.

<아레나옴므플러스>의 모든 기사의 사진과 텍스트는 상업적인 용도로 일부 혹은 전체를 무단 전재할 수 없습니다. 링크를 걸거나 SNS 퍼가기 버튼으로 공유해주세요.

KEYWORD

CREDIT INFO

EDITOR 이경진

2017년 01월호

MOST POPULAR

  • 1
    아웃도어 소사이어티
  • 2
    정경호, "저는 항상 누구와 함께하느냐가 가장 중요해요."
  • 3
    THE CORE
  • 4
    소지섭, "좋은 배우가 되는 가장 빠른 길은 좋은 사람이 되는 거라고 믿습니다."
  • 5
    홍화연, "매 순간 진심을 다하려고 해요. 뭔가 결정을 내릴 때는 충분히 고민하고, 최선을 다해 책임져요."

RELATED STORIES

  • INTERVIEW

    완벽함과 유연함 사이의 이준호

    어느덧 17년 차. 수많은 노래와 배역 사이를 이준호는 치열하게 오갔다. 완벽함을 바라는 마음은 그를 시종일관 몰아붙였다. 그의 노력에 걸맞게 팬들의 환호는 지구 반대편에서도 울려 퍼졌다. 그렇게 달려가던 이준호는 이제 유연함을 바라본다. 완벽에 다다르는 길이 하나만 있지 않기에.

  • INTERVIEW

    소지섭, "좋은 배우가 되는 가장 빠른 길은 좋은 사람이 되는 거라고 믿습니다."

    배우 소지섭의 <아레나> 5월호 화보 및 인터뷰 미리보기

  • INTERVIEW

    박재범, 반려견 오스카와 함께 한 <아레나 옴므 플러스> 디지털 커버 공개

    이탈리아 럭셔리 브랜드 구찌와 박재범이 함께한 <아레나> 디지털 커버 미리보기

  • INTERVIEW

    차강윤, "나중에는 꼭 연출을 하고 싶습니다. 일단 연기로 인정받아야죠. 얼마나 걸릴지 모르지만요."

    배우 차강윤의 <아레나> 5월호 화보 및 인터뷰 미리보기

  • INTERVIEW

    홍화연, "매 순간 진심을 다하려고 해요. 뭔가 결정을 내릴 때는 충분히 고민하고, 최선을 다해 책임져요."

    배우 홍화연의 <아레나> 5월호 화보 및 인터뷰 미리보기

MORE FROM ARENA

  • FASHION

    지속가능성을 위한 코펜하겐 패션위크의 노력

    올바른 방향과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하는 코펜하겐 패션위크의 선한 영향력.

  • INTERVIEW

    거친 남자들

    남성미 철철 넘치는 남다른 스포츠에 빠져 사는 진짜 사나이들.

  • LIFE

    명예로운 죽음을 달라

  • FASHION

    The Super Shoes

    21세기 러닝화는 스니커즈 첨단 기술의 집약체다. 이름도 ‘슈퍼슈즈’다. 슈퍼카를 살 때처럼, 슈퍼슈즈도 그저 기술력만 따져 살 것 같지는 않다. 그래서 준비했다. 여섯 브랜드의 최신 러닝화를 모아 완성한 잡지 속 전단지.

  • FASHION

    STAY A CHILD

    다시 돌아가고 싶은 어린 시절, 새파랗게 천진난만한 우리.

FAMILY SI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