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 검색

FASHION MORE+

Made in Japan

Kolor / Junichi

UpdatedOn September 29, 2015

Kolor | 칼라

Junichi Abe

꼼 데 가르송에서 독립한 준이치 아베가 2004년 만든 브랜드. 변형된 클래식을 기반으로 스포티즘, 밀리터리 등의 요소를 적절하게 조율하는 것이 특징. 특히 실루엣과 색을 다루는 그의 능력은 탁월하다.

이번 컬렉션의 의도는 무엇이었나?
설명적이지 않으면서도 노마드 느낌을 런웨이에 가득 채우고 싶었다. 복잡한 프린트, 테일러드 블랭킷 같은 아이템, 눈으로 전달되는 매력적인 촉감, 그리고 아름다운 색과 실루엣 등이 어우러져 흘러나오는 이국적인 분위기를 효과적으로 연출하려 했다.

그중 프린트가 아주 독특했다. 원시적이지만 현대적으로 정리된 느낌. 그러한 프린트에 대한 아이디어는 어떻게 얻나?
영감에 대한 질문이라면 항상 같은 대답이다. 나의 일상. 인지하지 못하는 순간에도 축적되는 것들을 끊임없이 고찰한 끝에 조금씩 얻은 결과물이다. 원시적인 프린트를 현대적으로 느꼈다면, 그건 수많은 요소들 사이에서 균형을 이루기 위한 고민이 있었기 때문일 거다.

프린트와 소재, 색들의 이질적인 조화가 돋보였다. 보다 다채로웠다. 어떤 과정을 거쳐 이 요소들을 조율했나?
매 시즌 시작점은 항상 다르다. 이번에는 이야기하고 싶은 서사나 무드, 느낌에 대한 추상적인 이미지를 그린 뒤 원단에 대한 조사를 시작했다. 그리고 옷의 형태나 실루엣에 대한 고민을 세부적으로 정리한 뒤 적합한 패브릭 디자인을 시작했다. 그 결과 프린트와 소재, 색들의 조화가 제법 다채롭게, 기분 좋은 의외성을 띠게 되었다.

여러 번 보니 잘 드러나지 않았던 디테일들이 눈에 들어왔다.
자갈을 형상화한 단추처럼 작은 부분이라도 컬렉션의 맥락을 유지하려고 했고, 청바지 포켓 디테일을 스웨이드로 만들어 코트 밑자락에 장식하거나 리본으로 기하학적인 패턴을 입체적으로 장식하는 등 예술적인 시도는 매 시즌 하고 있다. 하지만 나는 이런 세부들에 집중하기보다는 전체적인 균형에 늘 초점을 맞춘다.

색에 대한 얘기를 하지 않을 수 없다. 당신의 컬렉션에 등장하는 옷의 색들은 언제나 편안하고 부드러운 인상을 준다. 동시에 당신의 성격을 짐작할 수 있는 힌트 같기도 하다.
침착하고 안정적인, 자연에 가까운 색들을 좋아한다. 그리고 그 색들이 애쓰지 않아도 자연스럽게 조화되는 과정을 거쳤으면 한다. 좋아하는 색을 하나만 꼽기는 어렵지만, 요즘 내가 좋아하는 색은 회색빛이 살짝 감도는 푸른 계열의 색이다.  

당신 옷에는 밀리터리, 테일러링, 스포티즘이 혼재하지만 각각이 도드라지는 것이 아니라 굉장히 서정적이고 안정적으로 조화된다.
역시 중요한 건 균형이다. 나의 디자인에서 가장 중요한 것도 균형의 가치다. 아름답게 균형을 이룬 것들이 자연스럽게 감정에 와 닿는 과정이 좋다. 직접적이지 않아도 알아챌 수 있는 은유적인 옷. 하지만 한편으로는 부조화스러운 요소들의 나열에도 매력을 느낀다. 불안정한 긴장을 이룬 것들이 주는 미묘하고 위험한 매력이랄까. 결국 이 부조화 안에서도 분명 최적의 균형이 존재하기 때문이다. 칼라의 옷은 이러한 가치들이 혼재하고 있다고 생각한다. 이번 컬렉션도 그렇다. 아메리칸 인디언풍의 뉘앙스가 만연하지만 이 옷들은 명백하게 일상의 도시에서 통용될 만하다.

이번 가을에는 아디다스와 협업한 ‘아디다스 by 칼라’ 제품들도 선보인다. 예상보다 칼라다워 보였다.
내가 만든 컬렉션은 아디다스의 퍼포먼스 라인에 속한다. 그래서 패션성만 부각시킬 수도 없고 그렇다고 기능성에 과하게 초점을 맞출 수도 없었다. 기능성과 스타일을 균형 있게 갖춘 스포츠웨어를 만들어야 했다. 아디다스와는 이런 부분들을 위해 옷의 형태와 소재 등에 대해 많은 의견을 나누었다. 기능성을 갖춘 스포츠웨어라는 장르에 새롭게 접근하는 것이 쉽지는 않았으나, 많은 것을 배울 수 있었다.

칼라가 론칭한 지 10년이 지났다. 당신은 전 세계에서 유명한, 몇 안 되는 아시아의, 일본의 디자이너가 되었고, 당신 브랜드 역시 그러하다. 어떤 변화가 있었을까?
파리에서 첫 남성 컬렉션을 시작한 것이 2008년 S/S 시즌이었다. 2년 후엔 여성 컬렉션도 시작했고, 2012년 F/W부터는 남성 런웨이 쇼를 시작했다. 작년은 피티 워모의 메인 게스트 디자이너로 선정돼 쇼를 열기도 했다. 그리고 최근의 ‘아디다스 by 칼라’ 론칭까지. 작은 브랜드로 시작해 지금은 규모도 커졌고, 디자이너로서 좋은 경험도 많이 했다. 너무 뻔한 대답일까, 적지 않은 변화들이 있었지만 기본적으로 달라지는 것은 없다. 변화에 적응하고 그 틈에서 우리가 할 수 있는 훌륭한 일들에 대해서 고민하기 바쁘다.

패션 시장에서 아시아 디자이너들에 대한 생각도 많이 바뀌었을 거라 짐작된다.
어떤 변화를 느끼진 못했다. 그리고 내가 일본인이라는 사실도 크게 의식하지 않는다. 그럴 필요가 전혀 없다. 요즘은 전 세계인이 같은 시간에 영화나 음악, 잡지 등을 접하며 즉각적으로 감정을 공유하는 세상이니까. 세계는 평준화되고 있으며, 디자이너들도 동등한 입장에서 일을 한다.  

(왼쪽부터) 대담한 줄무늬 숄·회색 스웨터·울 팬츠·스웨이드 앵클부츠 모두 가격미정 칼라 제품. 
남색 블루종·컬러 블로킹 스웨터·여러 소재와 패턴을 조합한 조거 팬츠·밑창이 두툼한 슬립온 슈즈 모두 가격미정 칼라 제품.

(왼쪽부터) 대담한 줄무늬 숄·회색 스웨터·울 팬츠·스웨이드 앵클부츠 모두 가격미정 칼라 제품. 남색 블루종·컬러 블로킹 스웨터·여러 소재와 패턴을 조합한 조거 팬츠·밑창이 두툼한 슬립온 슈즈 모두 가격미정 칼라 제품.

(왼쪽부터) 대담한 줄무늬 숄·회색 스웨터·울 팬츠·스웨이드 앵클부츠 모두 가격미정 칼라 제품. 남색 블루종·컬러 블로킹 스웨터·여러 소재와 패턴을 조합한 조거 팬츠·밑창이 두툼한 슬립온 슈즈 모두 가격미정 칼라 제품.

꼼 데 가르송은 실력 있는 디자이너를 육성하는 역할도 한다. 당신도 그곳 출신이다. 그때의 경험이 당신에게 어떤 영향을 주었을까? 

옷을 만드는 기술부터 자잘한 지식까지, 아주 많은 걸 배웠지만 특히 일에 대한 윤리 의식을 가장 많이 배웠다. 

절대 잃지 않으려는 칼라의 핵심은 무엇인가? 

다른 요인들에 쉽게 영향받지 않고 칼라의 것을 고집하는 것. 다양한 요소들 속에서 최적의 균형을 유지하는 것.

<아레나옴므플러스>의 모든 기사의 사진과 텍스트는 상업적인 용도로 일부 혹은 전체를 무단 전재할 수 없습니다. 링크를 걸거나 SNS 퍼가기 버튼으로 공유해주세요.

KEYWORD

CREDIT INFO

PHOTOGRAPHY 이상엽
MODEL 성하균,조환,이봄찬,김정우
HAIR&MAKE-UP 이은혜
ASSISTANT 김은총
EDITOR 고동휘

2015년 10월호

MOST POPULAR

  • 1
    홍화연, "매 순간 진심을 다하려고 해요. 뭔가 결정을 내릴 때는 충분히 고민하고, 최선을 다해 책임져요."
  • 2
    러너들이 선택한 길
  • 3
    다시 콜드플레이!
  • 4
    SCENE 12
  • 5
    커피 잘 내리는 법

RELATED STORIES

  • FASHION

    캡이 될 수 있는 모자

    언제 어디든 나설 때 툭 얹기만 하면 된다.

  • FASHION

    The Dior Odyssey in Seoul

    디올의 찬미적 유산이 감각의 도시 서울과 만나 새로운 여정이 시작된다.

  • FASHION

    CCWC 2025써머 룩북 컬렉션 공개

    씨씨더블유씨가 '레트로' 키워드로 25SS 시즌을 선보인다.

  • FASHION

    MIU MIU LITERARY CLUB

    미우미우가 2025년, 두 번째 문학 클럽 '여성의 교육(A Woman’s Education)'을 선보인다.

  • FASHION

    전설은 계속된다

    IWC 샤프하우젠의 새로운 인제니어 컬렉션.

MORE FROM ARENA

  • FASHION

    THE GREAT '90S HIGH-TEEN

    큼직한 브랜드 로고, 원색의 아노락, 시대를 풍미한 프라다 나일론, 엉덩이 밑으로 한껏 내려 입은 통 큰 데님 팬츠와 불량하게 푹 눌러쓴 버킷 해트, 반항기 넘치는 눈빛까지. 1990년대 길거리를 휩쓸었던 당돌한 청춘의 재림.

  • ARTICLE

    GO, GO TENNIS!

    테니스 복식의 상징적인 룩.

  • LIFE

    포스트휴먼 감각하기

    기술적 특이점이 오는 해, 2045년. 그때가 되면 인공지능이 인간 지능을 초월할 것이라고 미래학자 레이 커즈와일은 주장한다. 인간이 좇기 어려운 속도로 기술이 발전한다는 예측이다. 정말 그런 날이 올까? 온다고 가정해보자. 그렇다면 인간의 의미도 새롭게 정의되어야 할 것이다. 새로운 종류의 인간, 즉 포스트휴먼의 등장도 기대해봄직하다. 허나, 기술적 특이점을 지나지 않은 현시점에 포스트휴먼을 설명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대신 상상은 해볼 수 있겠다. 다섯 명의 미술가에게 포스트휴먼에 관한 공통 질문을 던지자, 이내 흥미로운 답변들이 돌아왔다.

  • LIFE

    골든 위스키

    12월에 어울리는 아늑하고 편안한 풍미를 지닌 싱글 몰트위스키.

  • INTERVIEW

    모델 겸 사장 4인 / 레오

    자기만의 ‘업장’을 낸 모델 겸 사장 4인과 만났다.

FAMILY SI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