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 검색

LIFE MORE+

밥 한 공기의 영양식

연잎과 함께 피어나는 봄의 체취. 그리고 든든함.

UpdatedOn April 24, 2015

1. 연이야기

서촌 통인시장 근처 골목을 걷다 보면 현대식 건물 가운데 눈에 띄는 건물이 있다. 연잎이 테마인 푸드 카페 연이야기다. 1층은 식당이고 2층은 사무실로 사용한다. 내부는 넓지 않지만 한쪽 벽면을 창문으로 만들어 편안한 분위기를 느낄 수 있다. 디자인 전공을 한 대표의 손길 덕분인지 사소한 소품 하나하나가 눈길을 끈다. 특히 옥색 그릇에 음식을 담아 내오는 정갈한 상차림은 맛보기도 전에 만족감을 준다. 다른 곳과 다르게 연잎을 자르지 않고 밥을 감싸 더욱 먹음직스러워 보인다. 연잎을 열면 10가지 잡곡으로 담백하게 맛을 낸 찰밥이 드러난다. 후식으로 연잎과 연뿌리로 만든 카스텔라와 커피도 나온다. 식사 후 여유롭게 시간을 보낼 수 있다. 자체적으로 연잎밥 도시락도 판매하고 있다. 산지에서 직접 재료를 받아 만들기 때문에 대량 주문도 가능하다. 

메뉴 자연담은 밥상 9천5백원
주소 서울시 종로구 필운대로 53-30
문의 02-3446-7369


2. 만화식당

조계사 뒷골목에 ‘만화’라고 쓰인 빨간 간판이 보인다. 얼핏 보면 만화방이라고 착각할 수 있지만 연잎밥 전문점이다. 만화식당은 조계사에서 운영하던 식당을 개인이 인수해 15년 동안 이어오는 것이다. 일반 한옥집을 개조하지 않고 그대로 사용하고 꾸밈없는 내부 인터리어에서 맛집의 기운이 느껴진다. 연잎밥을 주문하면 푸짐한 반찬과 된장찌개, 달걀찜을 같이 내온다. 연잎밥은 연잎을 고정한 이쑤시개를 빼면, 큼지막한 여러 가지 견과류가 눈에 들어온다. 확실하게 영양에 신경 쓴 것을 알 수 있다. 반찬 없이 연잎밥만 먹어도 깔끔한 풍미가 몸을 건강하게 만들어주는 듯싶다. 점심시간에는 손님이 많아 미리 전화로 예약을 해야 바로 먹을 수 있다. 오후 3시부터 5시까지는 재료 준비 시간이다. 식당 앞엔 주차가 불가능하니 조계사에 주차하고 오는 것을 추천한다. 

메뉴 연잎밥 1만2천원
주소 서울시 종로구 율곡로4길 11-4
문의 02-723-3870


3. 다올

다올은 강남구청역에서 도보로 5분 정도 떨어진 곳에 위치한다. 다올은 ‘하는 일마다 모두 복이 온다’는 뜻이다. 1층은 주방과 일반 테이블이 있고 2층은 일반 테이블과 방으로 이루어져 있다. 그릇에 담긴 음식은 흩뜨려도 될까 싶을 정도로 정갈하게 담겨 있다. 각종 소스와 심지어 고춧가루까지 직접 제조하여 다 먹고 난 후에도 입안이 개운하다. 연잎밥에 일반적으로 들어가는 은행, 대추 같은 재료가 빠졌어도, 깊게 밴 연잎의 향과 적당한 찰기와 알찬 내용물로 만족감을 느낄 수 있다. 대부분의 코스 요리 음식점은 연잎밥을 전자레인지에 데워 내오는 데 반해 이곳은 직접 쪄서 내온다. 인테리어와 음식이 전체적으로 품위가 느껴져 가족 모임 혹은 회식 장소로 안성맞춤이다. 야외 테라스 좌석은 휴식 공간이다. 식사는 불가능하다. 

메뉴 연잎밥정식 1만2천원
주소 서울시 강남구 선릉로119길 14
문의 02-3446-9999


4. 카페피노

카페피노의 외관은 산 아래 운치 좋고 마당이 넓은 가정집이라고 생각하기 쉽다. 하지만 넓은 마당에 테이블이 있어 산바람을 느끼며 휴식하기 좋은 밥집이다. 이름 그대로 카페와 한정식 전문점을 같이 운영하고 있다. 내부는 전체적으로 고풍스러운 분위기의 가구와 장식품들로 꾸며져 있다. 연잎밥정식을 주문하면 먼저 도토리로 만든 해물전과 된장찌개, 불고기, 견과류가 들어 있는 샐러드를 포함하여 상다리가 부러질 만큼 음식이 나온다. 여느 한정식집과 달리 한두 젓가락씩 접시에 담아 얄밉게 주는 곳이 아니다. 카페에서 연잎밥정식을 먹은 영수증을 보여주면 음료를 할인받을 수 있다. 요리 시간이 길기 때문에 미리 예약하고 방문해야 한다. 대중교통을 이용하기엔 접근성이 떨어지므로 자가용 이용을 추천한다. 

메뉴 연잎밥 1만2천원, 연잎밥정식 2만원
주소 서울시 서초구 신흥말길 84
문의 02-445-0417  

<아레나옴므플러스>의 모든 기사의 사진과 텍스트는 상업적인 용도로 일부 혹은 전체를 무단 전재할 수 없습니다. 링크를 걸거나 SNS 퍼가기 버튼으로 공유해주세요.

KEYWORD

CREDIT INFO

Photography 이준열
Illustration 김민영
Guest Editor 권승훈

2015년 04월호

MOST POPULAR

  • 1
    가길 잘했다, 남해
  • 2
    Take Eat Slow
  • 3
    커피 잘 내리는 법
  • 4
    이토록 멋진 퍼레이드
  • 5
    SCENE 12

RELATED STORIES

  • FOOD

    뜨끈뜨끈, 밥 요리

    찬바람이 불면 어머니가 차려주신 집 밥이 떠오른다. 이달의 맛, 밥 요리.

  • BEAUTY

    <희망의 밥상>을 희망함

    1970년대 미국 정부에서 옥수수 농가에 지급한 보조금은 옥수수 대량생산의 기원이 됐다. 기업형 농장에서 재배한 값싼 옥수수는 가축의 사료가 되고, 쇠고기 생산 비용은 극단적으로 줄어들었다.

  • FOOD

    심야식당

    감자탕집, 중국집, 순두부집 등등 야심한 밤에도 당최 불을 끌 줄 모르는 `심야식당`은 얼마든지 있다. 그런데… `이건 몰랐을걸?`

  • FOOD

    흔하지 않은 꿀

    개성 한 방울 첨가된, 가지고 싶은 매력의 한국 브랜드 꿀 4

  • FOOD

    청아한 프리미엄 소주 4

    뒤끝 없이 청아한 프리미엄 소주.

MORE FROM ARENA

  • FASHION

    OF TIME AND THE CITY

    <대도시의 사랑법>의 세계관을 공유하는 배우 남윤수와 노상현이 밀라노에서 만났다. 돌체앤가바나를 입고, 따로 또 같이 보낸 그들의 어떤 오후.

  • REPORTS

    젊은 우리 감독들

    우리는 주인공으로 태어났고, 관객으로 자랐다. 스티븐 스필버그 영화를 보며 초등학교에 입학했고, 세상의 모든 영화를 인터넷으로 볼 수 있는 시대에 예민한 사춘기를 맞았다. 작가주의 한국 영화가 극장을 점령했을 때는 영화과 입학원서를 구입했다. 스트리밍으로 영화를 보게 된 오늘날 비로소 감독이 되어 시나리오를 쓴다. 1980년대에 태어나 영화를 만들게 된 젊은 감독 넷을 만났다. 그들은 이전 세대와는 다른 고민과 다른 대안을 제시했다.

  • INTERVIEW

    그럴 만하니까 영탁이 나온 것이다

    ‘니가 왜 거기서 나와’ 가수 영탁의 가장 큰 히트곡 중 하나다. <아레나>에 영탁이 나온 걸 신기해하는 사람도 있을 것이다. 신기할 것 없다. 영탁은 이미 준비되어 계속 발전하는 가수고, 가수이기 전에 멋진 인간이었다. 나올 만하니까 나온 영탁과 살아온 이야기, 사는 이야기, 살아갈 이야기를 나눴다.

  • AGENDA

    싱글몰트 당기는 날

    전 세계 최초로 소개된 싱글몰트 위스키를 테이스팅할 수 있는 ‘글렌피딕 더 오리지널 바’. 하나의 공간에서 버라이어티한 주류를 경험하고 싶은 이들을 위한 환상의 공간이다

  • FASHION

    New Sensation

    신비롭고 몽환적인 파티 현장, 그 속에 흘러넘치는 새로운 보테가 베네타식 감각적 아름다움.

FAMILY SI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