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 검색

LIFE MORE+

에디터스 레터 7월호

그리하여 좋은 글이란 I

아실런지 모르겠으나 한국에서 잡지를 만든다는 건 꽤나 고단한 행위다. 한 달이라는 한정된 기간에 트렌디하면서도 화제성이강한, 그러면서도 알이 꽉 들어찬 콘텐츠를 3백, 4백 페이지를 넘나드는 책 한 권에 꾹꾹 눌러 담기란 분명 용이한 작업은 아니다. 더군다나 패션지의 본고장인 미국과 유럽에서도 엄지손가락을 치켜세우는 한국 매거진들의 높은 퀄리티를, 그들의 1/10에도 못미치는 비용으로 만들어 나가고 있다는 건 그야말로 한강의 기적에 버금가는 ‘미러클’에 가깝다.

UpdatedOn June 28, 2013

아레나 옴므 플러스 편집장 박지호













아실런지 모르겠으나 한국에서 잡지를 만든다는 건 꽤나 고단한 행위다. 한 달이라는 한정된 기간에 트렌디하면서도 화제성이 강한, 그러면서도 알이 꽉 들어찬 콘텐츠를 3백, 4백 페이지를 넘나드는 책 한 권에 꾹꾹 눌러 담기란 분명 용이한 작업은 아니다. 더군다나 패션지의 본고장인 미국과 유럽에서도 엄지손가락을 치켜세우는 한국 매거진들의 높은 퀄리티를, 그들의 1/10에도 못 미치는 비용으로 만들어 나가고 있다는 건 그야말로 한강의 기적에 버금가는 ‘미러클’에 가깝다.
여하튼 한국의 잡지들은 열악한 조건 속에서도 최선을 다한다. 첫 페이지부터 마지막 페이지까지 혹시라도 중간에 독자의 관심이 끊기지 않게끔. 현란하면서도 묵직한 이미지와 다양한 정보, 감성으로 꾸욱 눌러 쓴 글들을 곳곳에 배치한 다음 당신의 마음을 빼앗기 위해 만반의 노력을 경주한다. 비록 한 달이라는 유통기한이 지나면 지상에서 사장될지라도. <아레나> 또한 마찬가지다. 잡지를 구성하는 두 가지 축은, 그 어느 매체도 범접할 수 없는 독창적인 비주얼과 에디터만의 지문(指紋)이 곳곳에 각인된 글이다. 그리하여 우리는 남다른 비주얼에 대한 갈망, 좋은 글에 대한 탐구를 도통 멈추는 법이 없다.

우연찮게도 이번 달 ‘시인’ 이우성 에디터가 작가 박범신을 인터뷰하였다. 올해로 등단 40년째를 맞는 박범신은 다음과 같이 말했다.
“소설 <은교>는 늙어가는 나의 슬픔을 매우 강력하게 반영한 거지. 소설 밑바닥을 흐르고 있는 존재론적 번뇌라든가, 늙어가는 슬픔, 슬픔에서 튕겨져가는 욕망의 근원들, 이런 것은 내가 늙어왔으니까 경험한 거지. … 1년에 장편 하나를 쓰면 쉽게 말하면 열두 달에 원고지 천 매를 썼다는 얘기야. 많이 잡아도 한 달에 백 매를 썼다는 얘기인데, 그럼 하루에 원고지 세 장씩 썼다는 거야. 왜 그것 보고 많이 썼다고 그러는지 난 이해가 안 가. 나는 호숫가 가서 한 시간만 산책하고 돌아와도 이야기가 몇 개씩 가슴에 차버려.”
지극히 개인적인 관점에서 말하자면, 흔히들 작가 박범신의 장점으로 꼽는 예민하기 이를 데 없는 그 감수성보다는, 그가 견지하고 있는 동시대성을 더 높게 평가하는 편이다. 바꿔 말하자면 현실의 결을 그대로 읽고 반영하는 작가라고나 할까. 이미 수십 년 전 <불의 나라>와 <물의 나라>로 순수문학 작가가 ‘신문 통속소설’을 쓰는 파격을 감행한 이 노(老)소설가는 지금껏 현실과 교감의 끈을 놓은 적이 없다. 소설 <은교>는 그 파격적인 소재 때문이 아니라, 늙어간다는 것의 슬픔과 그럼에도 스멀스멀 피어오르는 욕망이라는 현실에 눈감지 않은 솔직함의 승리라고 평가되어야 한다.

이것은 한편, 내가 김훈의 글을 그다지 선호하지 않는 이유이기도 하다(이 위대한 작가를 내 마음대로 평가하는 것이 과연 타당하기나 한가 싶지만, 지극히 개인적인 관점일 뿐이니까). 한때 내용 없이 공허한, 화려한 수사만이 난무하는 글에 대한 저항으로 김훈에 깊이 매혹당한 적이 있었다. 주어와 동사만으로 문장을 완성할 수 있을 때까지 끊임없이 정진하겠다는 그 위대한 강박. 글의 요소를 최소한으로 줄이고 줄여 결국 더 심대해지는 그 장엄한 문체. 하지만 현실과 마주하지 않은 채 끊임없이 역사 속, 그리고 문장 그 자체로만 침잠해가는 그의 글에는 결국 강박과 의무만이 남는 건 아닐지, 의문이 머릿속을 떠나지 않았다.

그렇다면 김훈에 비견될 만한, 글에 대한 강박을 평생 지키고 있는 존 버거는 어떤가. 이른바 ‘포토카피(사진복사)’ 기법이라는, 치밀한 시각적 산문을 통해 사진을 찍듯 대상을 생생하게 그려내겠다는 전무후무한 글쓰기에 도전하기도 했던 그의 문장 한 대목은 이렇다.

‘바튼 박자가 니농의 핏줄 속으로 들어가 임파구, NK, 베타2 따위를 깡그리 무시해버린다. 니농의 몸이 말한다. 내 무릎 속에 든 음악은 당신 거예요. 내 어깨뼈 밑에 있는 음악, 내 골반을 지나가는 음악 … 나의 허파 구석구석에 스며들어 있는 음악, 장차 나를 죽일 바이러스, 내 눈이 던지는 대답할 수 없는 물음 속에 든 음악은 지노, 모두 당신 거예요.’ -<결혼을 향하여> 존 버거

결혼을 비롯한 ‘사회제도’ 전반에 냉소를 보내던 삐딱한 청년 앞에 ‘결혼을 향하여’라는 고색창연한 제목을 들이민 이 작가는, 시원스레 정점을 향해 치닫는 속도감과 냉정하게 현실을 직시하는 굳건한 태도로 에이즈 환자가 평범한 남자를 만나 지상에서 가장 행복한 결혼식을 올린다는, 그야말로 우화(寓話) 앞에 속절없이 굴복하도록 이끌었다.

To be continued…

””

<아레나옴므플러스>의 모든 기사의 사진과 텍스트는 상업적인 용도로 일부 혹은 전체를 무단 전재할 수 없습니다. 링크를 걸거나 SNS 퍼가기 버튼으로 공유해주세요.

KEYWORD

CREDIT INFO

2013년 07월호

MOST POPULAR

  • 1
    Colorful Design
  • 2
    The Dior Odyssey in Seoul
  • 3
    지치고 힘들 때 꺼내볼 믿고 보는 배우 진영의 카운슬링
  • 4
    이제는 J-팝
  • 5
    데이비드 베컴, 보스와 함께한 첫 번째 디자인 협업 컬렉션 출시

RELATED STORIES

  • LIFE

    HAND IN HAND

    새카만 밤, 그의 곁에서 영롱하게 빛나는 물건 둘.

  • INTERVIEW

    스튜디오 픽트는 호기심을 만든다

    스튜디오 픽트에겐 호기심이 주된 재료다. 할머니댁에서 보던 자개장, 이미 현대 생활과 멀어진 바로 그 ‘자개’를 해체해 현대적인 아름다움을 더했다. 공예를 탐구하고 실험적인 과정을 거쳐 현대적인 오브제를 만들고자 하는 두 작가의 호기심이 그 시작이었다.

  • INTERVIEW

    윤라희는 경계를 넘는다

    색색의 아크릴로 만든, 용도를 알지 못할 물건들. 윤라희는 조각도 설치도 도자도 그 무엇도 아닌 것들을 공예의 범주 밖에 있는 산업적인 재료로 완성한다.

  • FASHION

    EARLY SPRING

    어쩌다 하루는 벌써 봄 같기도 해서, 조금 이르게 봄옷을 꺼냈다.

  • INTERVIEW

    윤상혁은 충돌을 빚는다

    투박한 듯하지만 섬세하고, 무심한 듯하지만 정교하다. 손이 가는 대로 흙을 빚는 것 같지만 어디서 멈춰야 할지 세심하게 고민한 결과물이다. 상반된 두 가지 심성이 충돌해 윤상혁의 작품이 된다.

MORE FROM ARENA

  • FASHION

    에르메스: 가방 이야기

    시대와 세대를 초월하는 에르메스의 가방 전시가 서울에서 열린다.

  • LIFE

    DM 주세요

    요즘 가게들의 대접 방식은 기괴하다. 푸대접으로 느껴질 만큼 손님을 대한다. 예약은 인스타그램 ‘DM(다이렉트 메시지)’으로만 받는다. 예약 양식을 지켜야 한다며 까다로운 태도를 보인다. 그런데도 장사가 잘된다. 불친절한 태도로 고객의 심리를 조종하는 요즘 가게들의 마케팅 방식을 짚어본다.

  • LIFE

    로에베가 공예전을 연 사건

    이렇게 근사한 패션과 공예의 만남. ‘현시대의 럭셔리는 무엇인가’라는 질문에 대한 이렇듯 명쾌한 대답.

  • INTERVIEW

    넷플릭스 <카터> 속 주인공, 정소리

    정소리는 음악과 사랑의 힘을 믿는다. 낭만을 꿈꾸며.

  • LIFE

    천사들의 몫

    얻는 게 있으면 잃는 것도 있다. 크리스마스라고 다를 것 없다. 에디터들이 축복의 밤에 잃은 것과 얻은 것을 고백한다. 담담한 어조로 솔직하게.

FAMILY SI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