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 검색

FASHION MORE+

The Critique

대림미술관이 구찌를 부른 이유

UpdatedOn March 31, 2020

대림미술관이 ‘힙’을 입은 지 오래됐다. 대중에게 미술의 문턱을 낮추는 데 혁혁한 공을 세웠다. 성공적인 전시도 있었지만 실패도 많았다. 작년 ‘하이메 아욘’ 전시가 그 예시. 오는 3월 12일 구찌와 <이 공간, 그 장소: 헤테로토피아> 전시를 개최한다. 구찌는 지금 세계적으로 힙한 브랜드 중 하나. 재작년에는 구찌와 깊은 연관이 있는 코코 카피탄의 전시가 인기를 끌었다. 이번에도 대박 흥행을 이어갈 수 있을까? 특정 패션 브랜드에게 미술관을 통째로 내준 대림미술관의 속내를 알아봤다.

대림미술관은 또 한 번 홈런을 칠까?

2014년부터다. 히피 아버지를 둔 장발의 무명 디자이너 알레산드로 미켈레가 구찌의 새로운 크리에이티브 디렉터로 임명되면서 구찌는 패션 잡지와 방송을 도배하다시피 했다. 2019년 총매출은 약 80억 유로(한화 약 10조7천억원). 샤넬보다 높은 수치다.

구찌의 패션 키워드는 ‘럭셔리 히피 스타일’이라 할 수 있다. 도마뱀, 새, 나비 프린트를 화려하게 수놓고 사자와 악어가 등장하는 영상은 그 옛날 반전과 평화, 자유와 사랑을 외치며 공원과 동산에 집결하던 히피를 연상시킨다. 단 허름하고 해진 옷자락의 히피가 아닌 스포츠카를 끌고 다니고 화려한 파티를 즐기는, 그러면서도 개념을 장착한 히피.

브랜딩의 확장과 마케팅에도 능한 알레산드로 미켈레는 계속해서 새로운 계획을 내놓는다. 그중 하나가 ‘구찌 플레이스’다. 구찌의 방향과 철학, 디자인에 영감을 준 장소를 소개하고 사람들로 하여금 그곳을 방문하게 하는 것이 목표다. 작년 초 서울의 대림미술관이 그 핫한 리스트에 이름을 올렸다. 미국 뉴욕의 대퍼 댄 아틀리에 스튜디오, 미국 로스앤젤레스의 할리우드 포에버 묘지, 이탈리아 피렌체의 구찌 가든과 보볼리 가든, 이탈리아 로마의 안티카 리브레리아 카시아넬리가 함께 이름을 올린 ‘동문’이다.

오는 3월 12일부터 대림미술관에서는 구찌에 의한, 구찌를 위한 전시를 선보인다. <이 공간, 그 장소 : 헤테로토피아(No Space, Just a Place. Eterotopia)>라 타이틀을 붙인 전시는 올해 가장 기대되는 전시로 꼽힌다. 헤테로토피아는 가상의 개념인 유토피아와 달리 현실에 존재할 수 있는 지상낙원을 의미한다. 성별과 나이, 국경에 제한받지 않는 적극적인 자기표현과 자유로운 예술이 있는 곳. 국내외 아티스트들은 가까운 미래 혹은 신화에서 영감을 받은 설치 미술을 선보인다. 성소수자와 퀴어 문화까지 다룰 예정이다.

럭셔리 브랜드 한곳에 미술관 전체를 내주는 꼴이지만 이상할 것도, 신기할 것도 없는 일이다. 2013년에도 대림미술관은 <스와로브스키 : 그 빛나는 환상>전을 통해 스와로브스키의 작업물과 미학을 조명한 바 있다. 오늘날 대림미술관이 힙스터의 성지로 자리매김하는 데 혁혁한 공을 세운 2011년 칼 라거펠트의 사진전 역시 커튼 뒤 주인공은 칼 라거펠트가 크리에이티브 디렉터로 있던 샤넬과 펜디였다.

국내 한 마케팅연구소에서 진행한 조사에 따르면 15~34세 남녀가 가장 선호하는 패션 브랜드가 구찌다. 대림미술관 역시 20~30대 고객 점유율이 전체 방문객의 90%에 이른다. 한국의 청춘은 구찌의 아트가 다른 곳과 어떻게 다른지도 알고 있다. 2018년 큰 인기를 끈 <나는 코코카피탄 : 오늘을 살아가는 너에게>는 2017년 구찌가 영 아트 스타로 선정한 작가의 전시였다. ‘Tomorrow is Now Yesterday(내일이 이미 어제가 됐다)’를 포함해 코코 카피탄이 직접 쓴 손글씨로 장식한 티셔츠는 품귀 현상을 일으킬 만큼 인기를 끌었다. 당시 그가 선보인 ‘수영장’도 화제가 됐다. 전시장 한가운데 수영장 모양으로 푸른 타일을 깔고 그 위에 영상과 글귀를 쏜 작품. 글의 내용은 ‘나는 수영장 한 가운데 떠 있다. 유일한 사실은 난 가라앉지 않을 것이라는 점이다’였다. 삼포세대라 할 만큼 포기할 것이 많은 젊은 세대에게 위안과 용기를 주는 메시지. 그 글귀, 그 느낌, 그 위안, 그 다름을 기억하는 이들은 다시 대림미술관을 찾을 것이다.

운영 방식도 대림미술관과 구찌는 비슷한 점이 많다. 구찌는 2016년부터 전 세계 곳곳에 산재하듯 자리하던 오프라인 매장을 과감히 정리하고 방향타를 온라인 판매 쪽으로 돌렸다. 오프라인에서는 구매할 수 없는 온라인 전용 제품도 많았다. 20대가 비교적 쉽게 살 수 있는 액세서리 라인도 대폭 강화했다. 스냅챗과 인스타그램도 공격적으로 활용했다. 2020년 1월 기준 구찌의 인스타그램 팔로어 수는 4천만 명에 이른다. 대한민국 인구수와 비슷한 규모다.

대림미술관 역시 마케팅의 중심에 ‘청춘’을 올린 지 오래다. 2014년 국내 미술관 중에서는 최초로 인스타그램 채널을 오픈했고 ‘핫’ 뮤지션, 아티스트와 함께하는 파티와 콘서트, 강연도 정기적으로 개최한다. 뉴욕현대미술관 등을 중심으로 인기를 끌었던 특별 야간 개관 콘서트와 전시에 한해 ‘페어웰 위크, 일요일은 미술관에서!’ 같은 프로그램도 몇 년째 진행하고 있다. 대림미술관의 인스타그램 팔로어 수는 약 15만 명. 국립현대미술관의 13만4천 명보다 많다. 사진 촬영을 허락한 것도 ‘청춘을 위한 전시’라는 맥락에서 신의 한 수가 됐다. 셀카봉까지 갖고 다니며 촬영을 하는 이들 때문에 미술관 같지 않다, 관람 분위기를 해친다는 의견이 있지만 사진 촬영 자체는 문제가 안 된다. 해외에서도 사진 촬영을 허락하는 곳이 점점 늘고 있고 모든 미술관이 고고할 필요는 없기 때문이다. 인스타그램 같은 SNS를 중시한다면서 사진 촬영을 금지하는 것은 앞뒤가 맞지 않는다.

퀴즈. 대림미술관이 언제쯤 개관했고, <칼 라거펠트의 사진전> <핀 율 탄생 100주년> 등 소위 터지는 전시를 개관하기 전엔 어떤 전시를 선보였는지 기억하나? 대림미술관이 지금의 자리에 오픈한 때는 2002년이고 개관 전시로 사진과 패션모델의 변천사를 선보였다. 만 레이, 모리스 타바르, 사라 문, 배준성 같은 스타 사진가 32명의 대표작 1백75점을 소개한 자리. 그때부터 이미 대림미술관은 패션과 사진 중심의 사립 미술관이라는 정체성을 확실히 해왔다. 이후의 전시들이 터질 수 있었던 것은 7~8년 가까이 실전을 계속해왔기 때문이고 그 마디마디 노하우가 쌓였기 때문이다. 한창 잘나가는 구찌가 대림미술관에 ‘구찌 플레이스’란 빛나는 명찰을 붙인 데는 이런 이력도 분명 작용했을 것이라 믿는다.

<아레나옴므플러스>의 모든 기사의 사진과 텍스트는 상업적인 용도로 일부 혹은 전체를 무단 전재할 수 없습니다. 링크를 걸거나 SNS 퍼가기 버튼으로 공유해주세요.

KEYWORD

CREDIT INFO

GUEST EDITOR 김성지
WORDS 정성갑(베터라이프 콘텐츠 플랫폼 & 한 점 갤러리 클립 대표)

2020년 03월호

MOST POPULAR

  • 1
    뻔하지 않은 트레이닝 팬츠 4
  • 2
    Enfant Terrible
  • 3
    이브의 경고
  • 4
    Meet the Old Future
  • 5
    시간을 연마하는 사람들

RELATED STORIES

  • FASHION

    그래픽 티셔츠 어떠세요?

    더워진 날씨만큼 티셔츠도 재기발랄하게 입으셔야죠.

  • FASHION

    대너와 함께, 데니안

    제법 뜨거워진 햇살과 기분 좋은 바람을 느끼며 대너와 함께한 6월의 어느 날.

  • FASHION

    WATERY&WATERFUL

    수분을 채우고 청량함을 남기는 스킨케어의 첫 단계.

  • FASHION

    What's in my CARRIER

    휴양지로 훌쩍 떠나고 싶은 마음이 동하게 하는 물건들로 채운 캐리어.

  • FASHION

    WOVEN TOGETHER

    여름을 위해 엮어 만든 가지각색의 라피아 아이템.

MORE FROM ARENA

  • LIVING

    [How-to] Leather Tissue Case

    의외의 모습이 매력적으로 느껴질 때가 있습니다. 예를 들면 이런 거요. 가방도 지갑도 거추장스럽다며 들고 다니지 않더니(사내아이처럼 말이에요), 어느 날은 주머니 안쪽에서 수공의 미가 물씬 느껴지는 가죽 케이스를 꺼내 드는 겁니다. 그리곤 익숙한 듯 휴지를 뽑아 사용합니다. 지갑도 수첩도 아닌 이것이 무엇이냐고, 신기해서 물어보면 '휴대용 티슈 케이스'라고 할 테지요. 이런 걸 들고 다니는 남자가 흔하지는 않죠? 의외의 섬세함이 꽤 매력적으로 느껴지더군요.

  • FASHION

    뷰티 키워드 A-Z

    고립과 비대면의 일상을 맞게 된 뷰티 업계는 이전과는 새로운 국면을 맞이했다. 최신으로 업데이트된 뷰티 브랜드와 이슈, 지금 알아둬야 할 뷰티 키워드에 대해 알파벳 순으로 정리했다.

  • INTERVIEW

    이준혁의 확신

    배우 이준혁은 서두르지 않는다. 데뷔 15년 차인 지금도 배우 일이 한 편의 마술 쇼에 참여하는 것 같다고 했고, 출연할 작품을 장르로 구분하기보다, 연기할 캐릭터가 시대적 정서와 관심사를 관통하기를 바란다. 천천히 걷지만 목적지는 선명하고, 그의 걸음은 확신에 차 있다.

  • FASHION

    PACE MAKER

    초침의 속도에 맞춰 달려보세요.

  • FASHION

    BOTTEGA VENETA WINTER 2022

    보테가 베네타의 새로운 크리에이티브 디렉터 마티유 블라지(Matthieu Blazy)의 첫 컬렉션, ‘WINTER 2022’ 쇼 공개

FAMILY SITE